본문 바로가기

온라인 주민투표

제안자 정보

제안자 정보에 관한 테이블입니다.
성명(단체명)

시**

주소(행정동)

송정2동

제안사업 내용

제안사업에 관한 테이블입니다.
구분

일반참여형

분야

안전도시

사업명

안전가게 지정 현판설치 지원 프로그램 운영사업

사업위치

광산구 수완동 일원

제안사업 내용

□ 사업 목적 및 배경
○ 세월호 침몰사고, 대형 화재·지진 등의 대형재난에 대한 국가적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대부분의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중앙정부의 안전교육 지도지표에 따라 수동적인 자세로 안전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 이에 국가적으로 법령을 마련하여 2017년 5월 30일 『국민안전교육 기본 진흥법』이 본격적으로 시행됨에 따라 ‘광산구민을 다 안전하게 하며, 그로인해 공공의 복리증진을 함으로서, 광산구를 더욱 안전한 지역으로 발전에 기여’ 하고자 먼저 시범사업 성격으로 광산구 수완동에 위치한 상점 등을 중심으로 안전가게 지정 현판설치지원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사업을 제안함.
□ 사업추진 주관기관 현황(案)
○ 사업시행 : 광산구 수완동행정복지지원센터
○ 사업주관 : 수완동 시민안전점검단
○ 사업시행단체 성격
- 본 단체는 수완동을 거점으로 지난 4년간 생활안전과 학교안전 등 예방활동을 중심적으로 자원봉사 하였고, 그리고 안전 교육을 중점적으로 실시하였으며, 상황별·맞춤형 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단체로서 30여명이 단원으로 활동하고 있음.
□ 사업추진내용
○ The 4 Zones of success 개념정리
- 안전지대를 넘어 마을 공동체의 성장 존(Zone) 확립
① The 1 Zones : 안전지대의 위험 (Danger in theComfort Zone)
· 우리가 흔히 느끼는 혼란과 불안, 혹은 감정적인 동요가 없는 아주 편한 감정을 누릴 수 있는 안전한 영역을 의미한다.
② The 2 Zones : 두려움 지대 (Fear Zone)
· 안전지대를 벗어난 두려움과 불안 발생하고, 작은 일에 감정적인 반응을 하기 쉽다.
③ The 3 Zones : 배움 지대 (Learning Zone)
· 할 수 없는 것과 있는 것을 나누어 할 수 없는 것들을 놓는다.
· 상황을 분석하고 어떻게 대응할지를 판단한다.
④ The 4 Zones : 성장 존 (Growh Zone)
· 타인에 대한 이해와 협력을 생각하고, 현재에 집중하며, 미래를 설계한다.
· 자신의 장점과 특기를 필요한 사람을 위해 쓴다.
○ The 4 Zones of success 통한 안전가게 지정 현판설치 지원 프로그램운영
- 행정이 미치지 못한 사각지대를 중심으로 우리주변의 안전한 도시생활 영위
- 유사사례 : 고창군치매안심가게, 5개소지정현판전달
○ 안전가게 선정기준(案)
- 분야별 안전교육과정 교육 이수(별첨자료1 참고)
· 자연재난안전, 보건안전, 생활안전, 교통안전, 범죄안전, 사회기반 체계안전
- 상가에 비치되어 있는 안전시설물 확보 기준마련

□ 사업추진방향
○ 목표 : 사람존중 생명도시 광산구 안전지대를 넘어 마을 공동체의 성장 존(Zone) 구축
○ 전략 : 안전도시 점검 + 문화도시 + 안전교육 = 행복자치구 실현
○ 방법 : 홍보·캠페인 ➡ 대상 상점점검 ➡안전교육실시 ➡ 심화과정 ➡ 안전가게 선정
○ 1단계
◦지역 행정복지센터중심으로 주민자치회 공동사업 추진
- 사업시행기관 역할 재점검 후 사업프로세스 정립과 사업추진방향 설정
○ 2단계(교육프로그램)
◦ 안전가게 관계자 실무교육(24시간)
- 자연재난안전, 보건안전, 생활안전, 교통안전, 범죄안전, 사회기반 체계안전
- 총 5주차 대상별 교육실시 후 종합평가
◦ 안전가게 관계자 현장교육(24시간)
- 지역 상점 등을 대상으로 현장교육실시
- 현장점검 후 애로사항 청취 후 취합하여 결과보고서 작성
○ 3단계(평가 후 결과도출) : 교육성과 평가 ➡ 우수 상점(상가) 선정 ➡ 안전가게지정 현판설치 ➡ 홍보지원

필요성/기대효과

□ 필요성
○ 재난발생시 이른바 ‘재난골든타임’을 놓치게 되어 대형재난으로 확대예방
- 재난(사고) 대응실패는 더 큰 재난(사건)을 불러올 뿐만 아니라
사기 불안을 증폭시키기 때문에 시민 각 계층과 다양한 유형에
맞는 맞춤형 안전교육이 시급하다 할 수 있다.
- 상가(상점)안전사고 발생 후 2차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일상에
서의 안전교육을 통한 재난안전훈련”의 필요성 대두

□ 기대효과
○ 상가(상점)관계자의 안전에 대한 인식제고의 필요성 강조
- 지역의 본 사업시행기관의 구민 참여 전문인력 활용계기 마련
○ 의무안전교육 병행을 통한 관련 행정기관의 업무 과중 해소
○ 교육수료 시 “안전교육지도사”, “재난 안전지도사”, 자격취득 응
시 기회 부여
○ 광산구 시민안전을 중심으로 마을 공동체의 성장 존(Zone) 구축
- 분야별 안전교육에 대한 홍보 및 캠페인
- 분야별 안전모니터링 요원으로 활동
- 생활밀착형 안전한 도시 아이디어발굴과 정책관련 제안활동활용

소요예산

50,000,000원

사업수혜 범위

지역 상가를 중심으로 생활밀착형 안전사고예방

사업위치도

첨부파일 없음

현황사진

첨부파일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