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LANGUAGE
ENGLISH
JAPANESE
CHINESE
빠른메뉴
민원신청
보건소
보도자료
구정사진
취업정보
도서관
면접정장대여
소촌아트팩토리
행복정책
광산LIVE
주정차단속
문자알림신청
광산장학회
대형폐기물
배출
광산imap
평생학습포털
광산구
지역경제활력센터
전체메뉴보기
통합검색
직원검색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뉴스ㆍ소식
새소식
새소식
안심콜 서비스
코로나19 비상대책
구정사진
광산구 일정
광산문화캘린더 일정
e-반상회
공고
입찰공고
고시/공고/입법
채용공고
개인정보제3자제공
보도ㆍ사실은 이렇습니다
보도자료
사실은 이렇습니다
타기관소식
무연분묘 개장공고
전자민원
민원실 이용안내
민원실
무인민원발급창구
드라이브-스루 민원서비스
여권
온라인 여권 재발급 신청
가족관계등록신고
민원안내/서식
전체민원검색
분야별 민원 서식
민원서식 작성예시(견본)
민원서식 외국어해석본
제증명 민원
주요 제증명 수수료 면제 사항
민원발급ㆍ상담
민원상담(국민신문고)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정부24
민원처리공개
온라인행정심판
민원편의 시책
어디서나 민원처리제(FAX)
사전심사청구제도
행정정보공동이용
폐업신고 간소화 시행
구술대필민원 안내
민원후견인제 안내
행정서비스헌장
행정서비스헌장
행정서비스 이행기준
분야별 정보
경제ㆍ산업ㆍ일자리
경제정보
전통시장
산업정보
기업주치의센터
취업정보센터
청년구직활동지원
사회적경제
복지
복지길라잡이
어르신
장애인
청소년/아동
여성/가족/다문화
보육
성인지 정책
문화관광
광산구자료저장소
광산명소
테마여행
관광정보
광산구 문화캘린더
안전ㆍ민방위
재난안전대책
안전문화
민방위
시민안전보험
교통
불법주정차 지도단속
주정차단속 문자알림신청
마을버스운행시간표
주정차위반안내
공유주차장 및 임시공영주차장
교육
광산구통합도서관
무료컴퓨터교육
평생학습 포털
환경ㆍ청소ㆍ건축
환경
청소
건축
공유도시 광산
공유도시 소개
공공시설 유휴공간 개방
열린공간나눔 참여시설
공유자원
공유재산 유휴지 현황
생활체육
생활체육종합정보
태권도팀
옥외광고물
현수막게시 신고절차
불법광고물 정비기준
부동산
알기쉬운 부동산 정보
부동산 관련 정보 안내
부동산 관련 사이트
토지거래 계약 허가사항
공동주택가격 열람
개별주택가격 열람
세무
세무 소식
지방세 안내
지방세 납부 일정
지방세 감면 제도
지방세 상담챗봇
편리한 지방세 납부 방법
납세자 권리보호 제도
마을세무사 제도
지방세 미리 계산
정보공개
사전정보 및 정보공개 청구
사전정보공표
업무추진비
정보공개제도안내
정보공개청구
행정정보
조직정보 공개
인사·채용 통계
정책실명제란?
행정처분공개
행정규제개혁
자치법규
위원회공개
재정공개
예산정보(주민참여예산)
계약정보공개시스템
예산일반
예산서보기
성인지예산서
성과계획서
세입·세출 재정정보공개
주요사업공개
재정공시
중기재정계획
지방재정투자심사
재무보고서
예산낭비신고센터
결산현황
통계자료
인구현황
통계연보
사업체통계현황
광산구여성통계
감사결과 · 청렴 · 법무
공개자료실
공공데이터 개방
공공데이터 개방
상시 수요조사
영조물배상공제
참여ㆍ소통
소통광산
정책제안
칭찬합시다
설문조사
광산구 소식받기
적극행정
자유게시판
주민참여포인트제
e-아파트너
e-아파트너란?
e-아파트너 이용 안내
구청장상 인터넷 추천
구청장상 인터넷 추천 및 검증
대상자 추천
청렴광산
주민감사청구제
공직자부조리신고
공익신고
광산구 장록습지
기본현황
장록습지 야생동물
알짜정보알리미
광산구 소개
주요구정
구정방침
업무계획
광산구 안내
기본현황
상징물
연혁
자매결연
구청안내
구청에서 하는 일
조직 및 업무
청사안내
부서별 팩스번호
광산장학회
장학회 소개
장학회 소식
후원 안내
공익제보 기관
관계기관 · 단체
동행정복지센터
전체보기
동소식 모아보기
동앨범 모아보기
민원안내/서식
e-반상회
송정1동
송정2동
도산동
신흥동
어룡동
우산동
월곡1동
월곡2동
운남동
하남동
첨단1동
비아동
첨단2동
수완동
신가동
신창동
평동
임곡동
동곡동
삼도동
본량동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ENGLISH
日本語
中國語
전체메뉴보기
빠른메뉴
뉴스ㆍ소식
새소식
새소식
안심콜 서비스
코로나19 비상대책
구정사진
광산구 일정
광산문화캘린더 일정
e-반상회
공고
입찰공고
고시/공고/입법
채용공고
개인정보제3자제공
보도ㆍ사실은 이렇습니다
보도자료
사실은 이렇습니다
타기관소식
무연분묘 개장공고
전자민원
민원실 이용안내
민원실
무인민원발급창구
드라이브-스루 민원서비스
여권
온라인 여권 재발급 신청
가족관계등록신고
민원안내/서식
전체민원검색
분야별 민원 서식
민원서식 작성예시(견본)
민원서식 외국어해석본
제증명 민원
주요 제증명 수수료 면제 사항
민원발급ㆍ상담
민원상담(국민신문고)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정부24
민원처리공개
온라인행정심판
민원편의 시책
어디서나 민원처리제(FAX)
사전심사청구제도
행정정보공동이용
폐업신고 간소화 시행
구술대필민원 안내
민원후견인제 안내
행정서비스헌장
행정서비스헌장
행정서비스 이행기준
분야별 정보
경제ㆍ산업ㆍ일자리
경제정보
전통시장
산업정보
기업주치의센터
취업정보센터
청년구직활동지원
사회적경제
복지
복지길라잡이
어르신
장애인
청소년/아동
여성/가족/다문화
보육
성인지 정책
문화관광
광산구자료저장소
광산명소
테마여행
관광정보
광산구 문화캘린더
안전ㆍ민방위
재난안전대책
안전문화
민방위
시민안전보험
교통
불법주정차 지도단속
주정차단속 문자알림신청
마을버스운행시간표
주정차위반안내
공유주차장 및 임시공영주차장
교육
광산구통합도서관
무료컴퓨터교육
평생학습 포털
환경ㆍ청소ㆍ건축
환경
청소
건축
공유도시 광산
공유도시 소개
공공시설 유휴공간 개방
열린공간나눔 참여시설
공유자원
공유재산 유휴지 현황
생활체육
생활체육종합정보
태권도팀
옥외광고물
현수막게시 신고절차
불법광고물 정비기준
부동산
알기쉬운 부동산 정보
부동산 관련 정보 안내
부동산 관련 사이트
토지거래 계약 허가사항
공동주택가격 열람
개별주택가격 열람
세무
세무 소식
지방세 안내
지방세 납부 일정
지방세 감면 제도
지방세 상담챗봇
편리한 지방세 납부 방법
납세자 권리보호 제도
마을세무사 제도
지방세 미리 계산
정보공개
사전정보 및 정보공개 청구
사전정보공표
업무추진비
정보공개제도안내
정보공개청구
행정정보
조직정보 공개
인사·채용 통계
정책실명제란?
행정처분공개
행정규제개혁
자치법규
위원회공개
재정공개
예산정보(주민참여예산)
계약정보공개시스템
예산일반
예산서보기
성인지예산서
성과계획서
세입·세출 재정정보공개
주요사업공개
재정공시
중기재정계획
지방재정투자심사
재무보고서
예산낭비신고센터
결산현황
통계자료
인구현황
통계연보
사업체통계현황
광산구여성통계
감사결과 · 청렴 · 법무
공개자료실
공공데이터 개방
공공데이터 개방
상시 수요조사
영조물배상공제
참여ㆍ소통
소통광산
정책제안
칭찬합시다
설문조사
광산구 소식받기
적극행정
자유게시판
주민참여포인트제
e-아파트너
e-아파트너란?
e-아파트너 이용 안내
구청장상 인터넷 추천
구청장상 인터넷 추천 및 검증
대상자 추천
청렴광산
주민감사청구제
공직자부조리신고
공익신고
광산구 장록습지
기본현황
장록습지 야생동물
알짜정보알리미
광산구 소개
주요구정
구정방침
업무계획
광산구 안내
기본현황
상징물
연혁
자매결연
구청안내
구청에서 하는 일
조직 및 업무
청사안내
부서별 팩스번호
광산장학회
장학회 소개
장학회 소식
후원 안내
공익제보 기관
관계기관 · 단체
동행정복지센터
전체보기
동소식 모아보기
동앨범 모아보기
민원안내/서식
e-반상회
송정1동
우리동소개
송정1동 앨범
우리동소식
주민자치
송정2동
우리동소개
우리동앨범
우리동소식
주민자치
도산동
우리동소개
우리동앨범
우리동소식
주민자치
신흥동
우리동소개
우리동앨범
우리동소식
주민자치
어룡동
우리동소개
우리동앨범
우리동소식
주민자치
우산동
우리동소개
우리동앨범
우리동소식
주민자치
월곡1동
우리동소개
우리동앨범
우리동소식
주민자치
월곡2동
우리동소개
우리동앨범
우리동소식
주민자치
운남동
우리동소개
우리동앨범
우리동소식
주민자치
하남동
우리동소개
우리동앨범
우리동소식
주민자치
첨단1동
우리동소개
우리동앨범
우리동소식
주민자치
비아동
우리동소개
우리동앨범
우리동소식
주민자치
첨단2동
우리동소개
우리동앨범
우리동소식
주민자치
수완동
우리동소개
우리동앨범
우리동소식
주민자치
신가동
우리동소개
우리동앨범
우리동소식
주민자치
신창동
우리동소개
우리동앨범
우리동소식
주민자치
평동
우리동소개
우리동앨범
우리동소식
주민자치
임곡동
우리동소개
우리동앨범
우리동소식
주민자치
동곡동
우리동소개
우리동앨범
우리동소식
주민자치
삼도동
우리동소개
우리동앨범
우리동소식
주민자치
본량동
우리동소개
우리동앨범
우리동소식
주민자치
도우미
영상정보처리기기/운영 규정
광산구 개인정보처리방침
저작권보호정책
사이트맵
배너전체 보기
뷰어프로그램
팝업존 전체보기
분야별 정보
경제ㆍ산업ㆍ일자리
경제정보
전통시장
산업정보
기업주치의센터
취업정보센터
청년구직활동지원
사회적경제
복지
복지길라잡이
어르신
장애인
청소년/아동
여성/가족/다문화
보육
성인지 정책
문화관광
광산구자료저장소
광산명소
테마여행
관광정보
광산구 문화캘린더
안전ㆍ민방위
재난안전대책
안전문화
민방위
시민안전보험
교통
불법주정차 지도단속
주정차단속 문자알림신청
마을버스운행시간표
주정차위반안내
공유주차장 및 임시공영주차장
교육
광산구통합도서관
무료컴퓨터교육
평생학습 포털
환경ㆍ청소ㆍ건축
환경
청소
건축
공유도시 광산
공유도시 소개
공공시설 유휴공간 개방
열린공간나눔 참여시설
공유자원
공유재산 유휴지 현황
생활체육
생활체육종합정보
태권도팀
옥외광고물
현수막게시 신고절차
불법광고물 정비기준
부동산
알기쉬운 부동산 정보
부동산 관련 정보 안내
부동산 관련 사이트
토지거래 계약 허가사항
공동주택가격 열람
개별주택가격 열람
세무
세무 소식
지방세 안내
지방세 납부 일정
지방세 감면 제도
지방세 상담챗봇
편리한 지방세 납부 방법
납세자 권리보호 제도
마을세무사 제도
지방세 미리 계산
태풍
HOME
분야별 정보
안전ㆍ민방위
재난안전대책
재난안전대비 국민행동 요령
태풍
재난안전대책본부 조직
안전관리 연락망
재난안전대비 국민행동 요령
태풍
홍수/호우
강풍
대설/한파
가뭄/폭염
지진/황사/적조
화재/산불
붕괴/폭발
교통사고/화생방사고
환경오염/가스
가스/승강기
여가활동
음식물중독/해외여행/테러
이재민 수용소
재해정보지도
태풍특보시 국민행동요령
태풍 오기 전에는
TV나 라디오, 인터넷, 스마트폰 등으로 태풍의 진로와 도달시간을 알아둡니다.
가정의 하수구나 집주변의 배수구를 점검하고 막힌 곳을 뚫어야 합니다.
침수나 산사태가 일어날 위험이 있는 지역에 사는 주민은 대피장소와 비상연락방법을 미리 알아둡니다.
하천 근처에 주차된 자동차는 안전한 곳으로 옮깁니다.
급 약품, 손전등, 식수, 비상식량 등의 생필품을 미리 준비합니다.
바람에 날아갈 위험이 있는 지붕, 간판, 창문, 출입문 또는 마당이나 외부에 있는 헌 가구, 놀이기구, 자전거 등은 단단히 고정해 둡니다.
공사장 근처는 위험하오니 가까이 가지 말아야 합니다.
전신주, 가로등, 신호등은 손으로 만지거나 가까이 가지 않도록 합니다.
감전의 위험이 있으니 집 안팎의 전기수리는 하지 말아야 합니다.
운전 중에는 감속운행 합니다.
천둥·번개가 칠 경우 건물 안이나 낮은 곳으로 대피합니다.
송전철탑이 넘어졌을 때는 119나 시·군·구청 또는 한전에 신고합니다.
문과 창문을 잘 닫아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안전을 위해 집 안에 있도록 합니다.
낡은 창호는 강풍으로 휘어지거나 파손될 위험이 있으니 미리 교체하거나 창문을 창틀에 단단하게 고정시켜 틈이 생기지 않도록 보강해야 합니다.
테이프를 붙일 때에는 유리가 창틀에 고정되도록 해 유리가 흔들리지 않도록 합니다.
창틀과 유리 사이의 채움재가 손상되거나 벌어져 있으면 유리창이 깨질 위험이 있으므로, 틈이 없도록 보강해 주어야 합니다.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말아야 합니다.
물에 잠긴 도로로 걸어가거나 차량을 운행하지 않도록 합니다.
대피할 때에는 수도와 가스 밸브를 잠그고 전기차단기를 내려둡니다.
집 주변이나 경작지의 용·배수로를 점검합니다.
어업활동을 하지 말고 선박을 단단히 묶어두어야 합니다.
어로시설을 철거하거나 고정해야 합니다.
주택주변에 산사태 위험이 있으면 미리 대피해야 합니다.
위험한 물건이 집 주변에 있다면 미리치웁니다.
논둑을 미리 점검하고 물꼬를 조정합니다.
선박을 단단히 묶어두고 어망·어구 등을 안전한 곳으로 옮깁니다.
태풍 주의보 때는
도시지역에서는
저지대·상습침수지역의 주민은 대피를 준비합니다.
공사장 근처는 위험하니 가까이 가지 말아야 합니다.
전신주, 가로등, 신호등을 손으로 만지거나 가까이 가지 말아야 합니다.
감전의 위험이 있으니 집 안팎의 전기수리는 하지 말아야 합니다.
운전 중에는 감속운행 합니다.
천둥·번개가 치면 건물 안이나 낮은 곳으로 대피합니다.
간판, 창문 등 날아갈 위험이 있는 물건은 단단히 고정해 둡니다.
송전철탑이 넘어졌을 때는 119나 시·군·구청 또는 한전에 신고합니다.
집안의 창문이나 출입문을 잠급니다.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말아야 합니다.
대피할 때는 수도, 가스, 전기를 반드시 차단해야 합니다.
라디오, TV, 인터넷, 스마트폰 등을 통해 기상예보 및 태풍상황을 잘 알아둡니다.
농촌지역에서는
저지대·상습침수지역의 주민은 대피를 준비합니다.
공사장 근처는 위험하니 가까이 가지 말아야 합니다.
감전위험이 있으니 고압전선 근처에 가지 말아야 합니다.
감전의 위험이 있으니 집 안팎의 전기수리는 하지 말아야 합니다.
천둥·번개가 치면 건물 안이나 낮은 곳으로 대피합니다.
간판, 창문 등 날아갈 위험이 있는 물건은 단단히 고정해 둡니다.
송전철탑이 넘어졌을 때는 119나 시·군·구청 또는 한전에 신고합니다.
집안의 창문이나 출입문을 잠급니다.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말아야 합니다.
대피할 때는 수도, 가스, 전기를 반드시 차단해야 합니다.
라디오, TV, 인터넷, 스마트폰 등을 통해 기상예보 및 태풍상황을 잘 알아둡니다.
경작지 용·배수로를 점검하러 나가는 것은 위험하니 하지 말아야 합니다.
산간계곡의 야영객은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
비닐하우스 등의 농업시설물을 미리 점검합니다.
해안지역에서는
저지대·상습침수지역의 주민은 대피를 준비합니다.
침수가 예상되는 건물의 지하공간에는 주차를 하지 말고, 지하에 살고 있는 분은 대피해야 합니다.
감전위험이 있으니 고압전선 근처에 가지 말아야 합니다.
해안도로 운전은 피해야 합니다.
감전의 위험이 있으니 집 안팎의 전기수리는 하지 말아야 합니다.
천둥·번개가 치면 건물 안이나 낮은 곳으로 대피합니다.
간판, 창문 등 날아갈 위험이 있는 물건은 단단히 고정해 둡니다.
송전철탑이 넘어졌을 때는 119나 시·군·구청 또는 한전에 신고합니다.
집안의 창문이나 출입문을 잠급니다.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말아야 합니다.
대피할 때는 수도, 가스, 전기를 반드시 차단해야 합니다.
라디오, TV, 인터넷, 스마트폰 등을 통해 기상예보 및 태풍상황을 잘 알아둡니다.
바닷가 근처나 저지대 주민은 대피 준비를 합니다.
어업활동이나 선박을 묶는 행위를 하지 말아야 합니다.
어로시설을 철거하거나 고정하는 행위를 하지 말아야 합니다.
해수욕장을 이용해서는 안 됩니다.
태풍 경보 때는
도시지역에서는
침수가 예상되는 건물의 지하공간에는 주차를 하지 말고, 지하나 붕괴 우려가 있는 노후주택의 주민은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
건물의 간판이나 위험시설물 주변으로 걸어가거나 가까이 가지 않도록 합니다.
문과 창문을 잘 닫아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안전을 위해 집 안에 있도록 합니다.
낡은 창호는 강풍으로 휘어지거나 파손될 위험이 있으니 미리 교체하거나 창문을 창틀에 단단하게 고정시켜 틈이 생기지 않도록 보강해야 합니다.
테이프를 붙일 때에는 유리가 창틀에 고정되도록 해 유리가 흔들리지 않도록 합니다.
창틀과 유리 사이의 채움재가 손상되거나 벌어져 있으면 유리창이 깨질 위험이 있으므로, 틈이 없도록 보강해 주어야 합니다.
집 안팎의 전기수리를 하지 맙시다.
모래주머니 등을 이용하여 물이 넘쳐서 흐르는 것을 막읍시다.
바람에 날아갈 물건이 집주변에 있다면 미리 제거합시다.
도로에 있는 차량은 속도를 줄여서 운전합시다.
아파트 등 고층건물 옥상, 지하실과 하수도 맨홀에 가까이 가지 맙시다.
정전 때 사용 가능한 손전등을 준비하시고 가족 간의 비상연락방법과 대피방법을 미리 의논합시다.
농촌지역에서는
모래주머니 등을 이용하여 하천물이 넘쳐서 흐르지 않도록 하여 농경지 침수를 예방합시다.
논둑을 점검하거나 물꼬를 조정하러 나가는 것은 위험합니다.
교량은 안전한지 확인한 후에 이용합시다.
산사태가 일어날 수 있는 비탈면 근처에 가까이 가지 맙시다.
이웃이나 가족 간의 연락방법과 비상시 대피방법을 확인합시다.
농기계나 가축 등을 안전한 장소로 옮깁시다.
비닐하우스, 인삼재배시설 등을 단단히 묶어 둡시다.
해안지역에서는
해안가의 위험한 비탈면에 가까이 가지 맙시다.
집 근처에 위험한 물건이 있다면 미리 치웁시다.
바닷가의 저지대 주민은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시다.
교량은 안전한지 확인한 후에 이용합시다.
선박을 묶거나 어망·어구 등을 옮기는 행위를 하지 맙시다.
가족 간의 연락방법이나 대피방법을 미리 확인합시다.
태풍이 지나간 후에는
파손된 상하수도나 도로가 있다면 시·군·구청이나 읍·면·동사무소에 연락합시다.
비상 식수가 떨어졌더라도 아무 물이나 마시지 말고 물은 꼭 끓여 드십시오.
침수된 집안은 가스가 차 있을 수 있으니 환기시킨 후 들어가고 전기, 가스, 수도시설은 함부로 손대지 말고 전문 업체에 연락해 안전성 확인 후 사용합시다.
피해를 입은 사유시설 등을 보수·복구할 때는 반드시 사진을 찍어 두십시오.
제방이 무너질 수 있으니 제방 근처에 가지 맙시다.
감전의 위험이 있으니 바닥에 떨어진 전선 근처에 가지 맙시다.
콘텐츠 관리부서 :
시민안전과 062) 960-8664
최종수정일 : 2015-12-30 1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