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의상징물

  • sns열기
  • HOME
  • 광산구 소개
  • 광산구 안내
  • 상징물
  • 구의상징물

심벌마크

심벌마크
문화, 예술, 산업이 조화된 희망의 땅, 광산구
녹색은 어등산을 중심으로 한 쾌적한 자연과 농촌의 풍요로움을 상징하고, 청색은 광산구를 휘감고 흐르는 황룡강과 영산강을 상징한다. 또, 주황색의 둥근 원은 떠오르는 태양이다.광산구 심벌은 전체적으로 구민과 행정기관이 하나되어 힘차게 전진하는 모습으로 광산구의 단결력을 상징한다.
마스코트
광산구의 마스코트 광산이
젊고 영리한 모습으로 광산구의 무한한 잠재력을 바탕으로 21세기 지식기반 사회를 이끌어갈 형상을 하고 있다. 노란구는 떠오르는 태양과 같은 존재로 희망을 뜻하는 서브캐릭터이다. 자연, 문화, 산업이 조화된 '희망의 땅, 광산구'를 의미하는 심벌의 상징을 머리에 붙이고 다닌다.
광산구의 도시브랜드 이미지(BI)
광산구의 도시브랜드 이미지(BI)
광산구 신창동 유적지에서 출토된 마한의 수레바퀴, 현재 자동차 산업을 상징하는 자동차 바퀴, 그리고 미래차 바퀴를 무한대(∞)형태로 연결,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도시 이미지를 역동적으로 표현했다. 2,000년 전, 세계 최고 문명을 일군 마한의 역사를 품고 광주 경제를 이끄는 광산이, 미래차 국가산단과 더불어 녹색의 자연환경과 공존하면서 우리나라의 미래 중심으로 성장하는 지속가능 도시로 나아간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구화, 구목, 구조

구화
구화 : 목련
화사한 봄날 잎이 나기 전에 탐스런 순백의 꽃을 피우며 꽃 중의 여왕, 목련으로 우아하고 품격높은 광산구민의 정신을 상징하고 있다. 푸른 잎은 부드럽고 너그러운 광산구민의 성품을 상징하며, 줄기는 상부상조의 단결력을 상징한다.
구목
구목 : 소나무
사시사철 한결같은 모습으로 이 땅을 지키면서 우리 민족의 생활 속에 친숙해진 나무로서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분포해 있는 나무이다. 소나무는 수려한 자태와 푸르고 씩씩한 기상, 그리고 곧은 지조는 우리 고장의 선비 정신과도 맥을 같이 하고 있다.
구조
구조 : 백로
백로는 3월부터 10월까지 광산구 어등산에 둥지를 틀고 황룡강 일대에서 서식하는 여름철새이다. 하얀색 깃털을 가진 백로는 고고한 성품을 상징으로 하고 있어 고봉 기대승 선생에서 한말 의병활동으로 이어지는 광산구의 고고한 선비정신을 잘 나타낸다.

콘텐츠 관리부서 : 기획조정실 062) 960-8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