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병규 광산구청장 매니페스토 - 실천계획

상생과 혁신으로
광산을 새롭게 시민을 이롭게

시민과 연대・협력하고, 새로운 기회와 활력을 모색하여
지역을 새롭게 변화・발전시키고
시민 모두를 이롭게 하는 광산을 구현하겠습니다.

"상생으로 튼실한 경제”

2-9 먹거리 상생도시 광산 푸드플랜 구축

해당 정책의 사업성격, 사업주체, 달성기간을 나누어 안내하는 표입니다.
사업성격 계속 사업주체 자체 달성기간 임기 내

정책목표

  • 도농 복합도시 광산 농업인의 안정적 소득과 소비자의 건강 먹거리 연계를 위한 총괄적 먹거리 통합정책 추진
1. 현황
  • 효율성을 강조하는 기존 먹거리 시장의 다양한 문제점 야기
    • 식품안전사고, 먹거리 양극화, 대기업 집적화 및 탄소배출량 증가
  • 국가 및 지역단위 먹거리계획 정책 도입 이후(‘17~)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먹거리 선순환 체계 구축 움직임이 급속히 확산
    • (푸드플랜 추진 지자체) : (’19) 49개소 → (’20) 91개소 → (’21) 111개소
    • (광산구푸드플랜연구용역추진):기간21.4~22.1/예산76,000천원/농림부공모사업
  • 지역 먹거리계획 수립지원 근거 마련 법 개정 및 조례 제정
    •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기본법」제23조의3(지역먹거리계획의 수립) 개정(‘22.1.4.)
    • 「광산구 상생먹거리 지원에 관한 기본 조례」 제정(‘20.11.17.)
    • ※ 지역 먹거리계획의 내용, 먹거리위원회의 구성, 먹거리통합지원센터의 기능, 운영 및 지원 근거 등 포함
2. 정책개요
농촌고용인력지원
  • 기 간 : 2022년 ~ 2026년
  • 전략체계
광산구 푸드플랜 주요 수립 (안)
광산구 푸드플랜 주요 수립 안 제공하는 표입니다.
목 표 목 표 도농상생 정책 추진으로 건강한 시민, 활력 넘치는 농촌 도모
추진 전략 ① 먹거리보장 ② 먹거리생산 ③ 공공형 추진체계 ④ 거버넌스 구축
주요 과제
  • 로컬푸드 직매장확대
  • 학교급식 확대
  • 복지급식 추진
  • 공공급식 추진
  • 기획생산체계 구축
  • 안전성 확보
  • 환경농업 전환
  • 공공급식지원센터 전환
  • 행정조직 개편
  • 상생먹거리 시민위원회
  • 기관간 협력체계 구축
  • 공유부엌 운영
  • 도농교류 및 식농교육
세부사업 계획
세부사업명
2022년
  • 푸드플랜종합계획 수립
  • 먹거리시민위원회 운영
  • 농가조직화
  • 푸드플랜아카데미
사업내용
종합계획 구축
  • 지역생산-지역소비 선순환체계 구축 정책수립
  • 시민 참여형 정책 수립을 위한 위원회 운영
  • 공공급식・직매장 출하농가 모집(100명~150명 모집)
  • 지역 푸드플랜 협력자・활동가 등 양
세부사업명
2023년
  • 공공급식지원센터 개관
  • 로컬푸드직매장
  • 공유부엌
  • 안전성 검사
사업내용
기반시설 구축
  • 학교급식지원센터 → 공공급식지원센터로 전환
  • 로컬푸드 전문관 및 공유부엌 조성
    • - 사업장 위치 : 도산동 634, 건축면적 241m²
  • 출하 농산물 잔류농약검사 추진(매년 추진)
세부사업명
2024년~
  • 공공‧복지 급식 확대
  • 로컬푸드 직매장
  • 기관간협력체
사업내용
공급확대 및 활성화
  • 공공기관‧복지기관 등 식재료 납품 확대
  • 로컬푸드 직매장 추가 개장(농협 지원)
  • 광주광역시‧장성군 등과 협력관계 구축
3. 추진계획
연차별 추진계획
연차별 추진계획을 제공하는 표입니다.
달성 최종목표 연차별 달성 목표
푸드플랜 구축 및 활성화 2022 먹거리 상생도시 광산 푸드플랜 종합계획 수립
2023 공공급식지원센터 개관, 직매장 및 공유부엌 운영
2024 학교급식+복지‧공공급식에 우수식재료 납품
2025 식재표 납품 및 로컬푸드 직매장 확대
2026 광산 푸드플랜 운영 지속
추진일정
추진일정을 제공하는 표입니다.
주요일정(연기/분기) 2022 2023 2024 2025 2026 임기후
3 4 1 2 3 4 1 2 3 4 1 2 3 4 1 2 기간명시
종합계획 수립
공공급식지원센터 개관 로컬푸드 직매장 개장 공동체 공유부엌 운영
공공급식‧직매장 식재료 납품
4. 연차별 소요예산(투자계획)
(단위 : 백만원)
연차별 소요예산을 제공하는 표입니다.
구분 연도별 예산 임기후
2022 2023 2024 2025 2026
총 계 4,265 835 460 1,990 490 490 -
국 비 922 304 42 492 42 42 -
시 비 744 123 84 329 104 104 -
구 비 1,999 408 334 569 344 344 -
민자/기타 600 - - 600 - - -
5. 공약이행 확인 지표
공약이행을 제공하는 표입니다.
확인 지표 단위 목표
(계)
연차별 달성 목표
2022 2023 2024 2025 2026
종합 계획수립 1 1
공공급식지원센터 개관 개소 1 1
공유부엌, 직매장 운영 개소 1 1
6. 유관기관 협력 사항
  • 광주광역시 상생협력 구축 : 광주광역시 푸드플랜과 상생협력 구축

추진방향

  • 區 역할 인적자원 발굴운영
    • 농가조직화 및 기획생산체계 구축
    • 사회적경제조직 등 발굴 협력체계 구축
    • 도시농업 및 식농교육 등
  • 市 역할 물적자원 기반조성
    • 농업환경종합분석실 운영(농업기술센터)
    • 먹거리통합물류센터 건립
    • 지역가공센터 건립
  • 장성군 상생협력 구축 : 먹거리 상생 업무협약(‘22.1. 추진) 및 협력관계 구축
    • 장성로컬푸드 직매장(’22.6.28. 개장)에 광산구 농업인 농산물 출하 중
  • 먹거리 관련 단체와 협업하여 공동체 실현 : 공유부엌 조성하여 로컬 식재료를 활용한 봉사단체, 사회적경제조직 등과 협업하여 돌봄이웃 나눔공간으로 활용
7. 예상 문제점 및 해결방안
  • 광산먹거리 공동체 추진으로 먹거리 공공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향후 사업 추진(먹거리통합지원센터 건립, 대규모 직매장 등)에 과도한 예산 필요
    • ⇒ 광역시 단위 먹거리 종합계획(푸드플랜) 수립을 요청하여 市 와 함께 협력하여 지역 푸드플랜 구축 추진
8. 기대효과
  • 41만 광산구 시민의 먹거리 기본권 보장, 삶의 질 제고
  • 예측가능한 생산-소비의 실현으로 가족소농 소득안정, 지역활성화
  • 지역 내 자원 선순환을 통한 지역경제 활력 도모

추진부서

  • 생명농업과장 강영구(☎8490)
  • 먹거리정책팀장 최승훈(☎8501)
  • 담당 문상희(☎8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