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관광 꽃피는 도시"
4-12 신ㆍ재생 에너지 보급 확산을 통한 에너지 효율화
사업성격 | 계속 | 사업주체 | 자체 | 달성기간 | 임기내 |
---|
정책목표
- 에너지 효율화 사업 및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 확대
1. 현황
- 정부의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중 20%) 추진
- 지속가능한 녹색사회 실현을 위한 대한민국 2050(광주광역시 2045)탄소중립전략 선언
2. 정책개요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사업
- 사업기간 : 2022. 1. ~ 2023. 12.
- 총사업비 : 4,070백만원(국비 70%, 시비 15%, 구비 15%)
- 사업대상 : 16개소(국공립어린이집 9, 보건소 7)
- 추진방법 : 미래산업과 총괄, 여성아동과·보건행정과 사업시행
- 사업내용 : 에너지 성능향상, 실내 공기질 향상, 효율개선 및 생활환경개선 위한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사업비 지원
에너지자립마을 조성사업
- 사업기간 : 2022. 1. ~ 2024. 12.
- 사 업 명 : 에너지자립마을 조성사업(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
- 사업내용 : 대상지역 내 주택 및 건물에 신재생에너지(태양광, 태양열 등)설비 설치
- 추진방법 : 컨소시엄(광산구+참여기업+주민)구성 산업부 공모사업참여
- 추진현황 : 2022년 공모사업 선정(’21.12.), 2023년 공모사업 신청(’22.7.)
3. 추진계획
연차별 추진계획
달성 최종목표 | 연차별 달성 목표 | |
---|---|---|
에너지 효율화 사업 및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 2022 |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사업 추진 신창·신가·하남·비아·첨단1·2동 에너지자립마을 조성 |
2023 |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사업 공모사업 신청 및 추진 2023년 공모사업 선정 및 에너지자립마을 조성(선정 시 추진) |
|
2024 | 사업 대상 확대 검토 및 2024년 공모사업 신청 | |
2025 | 기존 사업 대상 관리 및 확대방안 검토 | |
2026 | 기존 사업 대상 관리 및 확대방안 검토 |
추진일정
주요일정(연도/분기) |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임기후 | |||||||||||
---|---|---|---|---|---|---|---|---|---|---|---|---|---|---|---|---|---|
3 | 4 | 1 | 2 | 3 | 4 | 1 | 2 | 3 | 4 | 1 | 2 | 3 | 4 | 1 | 2 | 기간명시 | |
-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사업 추진 - 2022년 에너지자립마을 조성사업 추진 |
|||||||||||||||||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사업 공모신청 및 추진 | |||||||||||||||||
2023년 에너지자립마을 조성사업 공모신청 및 추진 | |||||||||||||||||
사업 대상 관리 및 확대 검토 |
4. 연차별 소요예산(투자계획)
(단위 : 백만원)
구 분 | 계 | 연도별 예산 | 임기후 | ||||
---|---|---|---|---|---|---|---|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
총 계 | 11,647 | 8,644 | 3,003 | ||||
국 비 | 6,675 | 5,207 | 1,468 | ||||
시 비 | 2,425 | 1,754 | 671 | ||||
구 비 | 1,398 | 967 | 431 | ||||
민자/기타 | 1,149 | 716 | 433 |
- ※ 2023년도 예산은 공모사업 신청 예산이며 선정 결과에 따라 변동 예정
5. 공약이행 확인 지표
확인 지표 | 단위 | 목표(계) | 연차별 달성 목표 | ||||
---|---|---|---|---|---|---|---|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
그린리모델링 개소 수 | 개소 | 16 | 10 | 6 | |||
융복합지원 컨소시엄 구성 | 회 | 2 | 1 | 1 |
6. 유관기관 협력 사항
- (재정) 공모사업 선정을 통한 국·시비예산 확보 필요
- 국토교통부 공모사업 :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사업
- 산업통상자원부 공모사업 :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
7. 예상 문제점 및 해결방안
- 에너지 관련 사업은 대규모 투자예산이 필요하며 재원 확보 어려움
- 국·시비 사업비 비율 감소(국 4%↓, 시 2%↓)에 따른 구비 비율 상향 불가피
- ⇒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 본예산 구비 예산 확보 필요
- 원활한 사업 추진(수요조사 등)을 위해 행정복지센터 등 관련 부서 협조 필요
- ⇒ 행정복지센터 내 접수 및 홍보 장소 마련, 홍보물 게시 등 협조 필요
8. 기대효과
- 지역 건축보수, 인테리어, 에너지 기자재산업 등 일자리 고용 유발 효과
- 노후 공공건축물 이용률이 높은 취약계층(노인, 어린이)에 필요한 환경개선
- ⇒ 에너지 성능 향상(30%이상), 실내공기질 개선(75%) 등
- 시민의 자발적 에너지 저감 대책 및 공공시설 에너지 효율화 확대
- 대상지역 신재생에너지 보급 활성화 및 지역 내 에너지 자립 실현
- 에너지자립마을 조성사업 예상 발전량 및 산림증대 효과(’22년 사업 기준)
설비 규모(2022년 기준) | 연간 예상 발전량 | 산림증대효과 ※ 잣나무 기준 |
||
---|---|---|---|---|
태양광(188개소) | 태양열(49개소) | 연료전지(1개소) | ||
2,264 KW | 438 ㎡ | 10 KW | 3,045 MWh/연간 | 약 28만 그루 |
추진부서
- 산업혁신과장 장용성(☎8050)
- 에너지관리팀장 임태종(☎8451)
- 담당 김세윤, 김형준(☎8453, 3676)
협조부서
- (2022)신창·신가·하남·비아·첨단1·2동, (2023)송정1·2·어룡·수완·평동, 여성아동과, 보건행정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