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하며 나누는 복지"
3-11 디지털 평생교육 활성화
사업성격 | 신규 | 사업주체 | 자체 | 달성기간 | 임기내 |
---|
정책목표
- 디지털 교육을 통한 신중년 세대의 정보격차 해소 및 취·창업 역량 강화
1. 현황
- 코로나19로 무인·비대면 중심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정보 취약계층이자 인생N모작을 준비하는 50대 이상 중장·노년층 대상 수준별 디지털 교육 및 취·창업 역량 강화 필요
2. 정책개요
- 추진기간 : 2023년 ~ 2025년
- 사업대상 : 50대 이상 중장년, 노년층
- 사업장소 : 행복학습센터, 복지관 등 유휴공간 발굴·지정
- 주요내용
- 디지털 정보취약계층 대상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운영
ㆍ수준별(기초, 심화, 특별) 맞춤형 디지털 역량강화 교육 - 경력·전문성을 활용한 경제사회활동 일자리 설계 지원
ㆍ디지털 역량 접목 교육과정 수요조사 → 교육과정 운영 → 일자리 발굴
- 디지털 정보취약계층 대상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운영
- 소요예산 : 90백만원(구비 90)
3. 추진계획
연차별 추진계획
달성 최종목표 | 연차별 달성 목표 | |
---|---|---|
디지털교육을 통한 신중년 세대의 정보격차해소, 취·창업 역량 강화 | 2022 | 관련 기관·부서 협의 |
2023 |
|
|
2024 | ||
2025 |
추진일정
주요일정(연도/분기) | 2022 | 2023 | 2024 | 2025 | ||||||||||
---|---|---|---|---|---|---|---|---|---|---|---|---|---|---|
3 | 4 | 1 | 2 | 3 | 4 | 1 | 2 | 3 | 4 | 1 | 2 | 3 | 4 | |
관련 부서 및 기관 협의 | ||||||||||||||
기본계획 수립 | ||||||||||||||
교육과정 운영 | ||||||||||||||
만족도 조사 및 일자리 연계 |
4. 연차별 소요예산(투자계획)
(단위 : 백만원)
구 분 | 계 | 연도별 예산 | 임기후 | ||||
---|---|---|---|---|---|---|---|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
총 계 | 90 | 30 | 30 | 30 | |||
국 비 | |||||||
시 비 | |||||||
구 비 | 90 | 30 | 30 | 30 | |||
민자/기타 |
5. 공약이행 확인 지표
확인 지표 | 단위 | 목표(계) | 연차별 달성 목표 | ||||
---|---|---|---|---|---|---|---|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
디지털 평생교육 종합계획 수립 | 식 | 1 | 1 | ||||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운영 | 회 | 6 | 2 | 2 | 2 | ||
인생 N모작 교육 운영 | 회 | 3 | 1 | 1 | 1 |
6. 유관기관 협력 사항
- (재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디지털 배움터」사업 강사 및 기자재 일부 지원
7. 예상 문제점 및 해결방안
- 단순 교육에서 끝나지 않고 후 배운 내용을 활용하여 지역에서 경제사회활동을 할 수 있는 기반 마련 필요
- ⇒ 노인일자리 사업, 빛고을 50+일자리 지원사업 등 타 부처·부서에서 운영중인 사업과 연계하여 신규 일자리 발굴 제안
8. 기대효과
- 디지털 정보격차를 완화하는 중장년 대상 교육 프로그램 운영으로 일상 생활의 불편을 해소하고, 역량발휘를 통해 지역사회의 요구에 적합한 맞춤형 일자리 발굴 및 사회적 가치 창출
- 지역 내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생활권 가까이 어디에서나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평생교육환경 조성
추진부서
- 교육도서관과장 조선영(☎8280)
- 평생학습팀장 윤은미(☎8281)
- 담당 김누리(☎8283)
협조부서
- 복지정책과, 고령사회정책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