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하며 나누는 복지"
3-13 식품 안전 환경 구축
사업성격 | 계속 | 사업주체 | 자체 | 달성기간 | 임기내 |
---|
정책목표
- 식품 이용환경 변화를 반영한 안전식품 생산·소비 환경 구축
1. 현황
- 1인가구 증가로 인한 외식 및 밀키트의 이용률 상승
- 배달(포장)음식 증가에 따른 '배달전문음식점' 관리방안 마련
- 시대에 맞는 시스템 마련으로 안전사회 구축

2. 정책개요
- 추진방향
- ①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식품환경 조성
- ② '배달전문음식점' 자율점검 관리체계 구축
- 주요내용
- ①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식품환경 조성
- 식품제조·유통·판매업소에 대한 식품안전 사전 컨설팅
- IT기술을 더한 어린이집 집단급식소 스마트 관리
- 자율 위생수준 향상 및 다소비 위해식품 집중관리
- ② 식품 위해 예방을 위한 지도 점검
- 식품 제조·판매업소 및 배달음식전문점 집중관리
- 다소비 식품 등 안전한 먹거리를 위한 상시점검 강화
- ①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식품환경 조성
- 소요예산 : 226백만원(국70.5, 시33.75, 구121.75)
3. 추진계획
연차별 추진계획
달성 최종목표 | 연차별 달성 목표 | |
---|---|---|
식품 이용환경 변화를 반영한 안전식품 생산·소비 환경 구축 | 2022 | 배달전문음식점 현황 전수조사 |
2022 ~ 2026 | 식품 위해 예방을 위한 지도 점검 | |
식품 표시·광고(허위과대 광고 등) 사전 컨설팅 | ||
IT기술을 더한 어린이집 집단급식소 스마트 관리 | ||
아동·청소년 먹거리 안전 강화 |
추진일정
주요일정(연도/분기) |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임기후 | |||||||||||
---|---|---|---|---|---|---|---|---|---|---|---|---|---|---|---|---|---|
3 | 4 | 1 | 2 | 3 | 4 | 1 | 2 | 3 | 4 | 1 | 2 | 3 | 4 | 1 | 2 | 기간명시 | |
배달전문음식점 현황 전수조사 | |||||||||||||||||
식품 위해 예방을 위한 지도 점검 | |||||||||||||||||
식품 표시·광고 사전 컨설팅 | |||||||||||||||||
IT기술을 더한 어린이집 집단급식소 스마트 관리 | |||||||||||||||||
아동·청소년 먹거리 안전 강화 |
4. 연차별 소요예산(투자계획)
(단위 : 백만원)
구 분 | 계 | 연도별 예산 | 임기후 | ||||
---|---|---|---|---|---|---|---|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
총 계 | 226 | 42 | 52 | 52 | 40 | 40 | |
국 비 | 70.5 | 13.5 | 13.5 | 13.5 | 15 | 15 | |
시 비 | 33.75 | 6.25 | 6.25 | 6.25 | 7.5 | 7.5 | |
구 비 | 121.75 | 22.25 | 32.25 | 32.25 | 17.5 | 17.5 | |
민자/기타 | 0 | 0 | 0 | 0 | 0 | 0 |
5. 공약이행 확인 지표
확인 지표 | 단위 | 목표(계) | 연차별 달성 목표 | ||||
---|---|---|---|---|---|---|---|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
식품 위해 예방을 위한 지도 점검 | 횟수 | 20 | 3 | 5 | 5 | 5 | 2 |
식품 표시·광고 사전컨설팅 | 개소 | 550 | 30 | 150 | 150 | 150 | 70 |
IT기술을 더한 어린이집 집단급식소 스마트 관리 | 개소 | 225 | 50 | 50 | 50 | 50 | 25 |
6. 유관기관 협력 사항
- '배달전문음식점' 현황 파악 협조
- 외식업지부 광산구지부, 휴게음식점 광주시지회
7. 예상 문제점 및 해결방안
- '배달전문음식점' 자율참여 어려움 예상
- 참여업소 방역(위생)물품 제공, 음식문화개선 사업 우선지원
- 안전한 먹거리 선별 홍보에 인력 부족 예상
- 블로거 및 소비자감시원 활용 검토
- 허위과대광고 사전 컨설팅에 따른 법률지원
- 담당자의 전문지식 필요(교육, 업무 연찬)
- 관련기관(식약처, 법제처, 업체 등) 상호 협조를 위한 연락체계 구축
8. 기대효과
- 시민의 눈높이에 맞는 식품안전망 구축
- 식품교육 및 수거검사 확대로 소비자에게 안전한 식품 제공
- 760건, 전년대비 105%/ 2021년 기준
- 청결한 위생관리로 식품안전사고 사전예방
추진부서
- 식품위생과장 한현태(☎8780)
- 식품안전팀장 이정숙 (☎8795)
- 담당 임소현 (☎8796)
- 위생지도팀장 안 미 (☎8790)
- 담당 강한아(☎87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