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관광 꽃피는 도시"
4-1 광주송정역 앞 광장 조성
사업성격 | 신규 | 사업주체 | 국가, 자체 | 달성기간 | 임기내 |
---|
정책목표
- 광주송정역 앞 문화광장 조성
1. 현황
- 광주송정역은 광역교통 중심지이자 개발사업이 활발하고 일평균 유동인구 2만명 이상의 만남의 장소
- 만남의 장소에 시민들이 소통 및 문화향유할 수 있는 광장조성을 통해 문화도시 이미지 구축 필요
2. 정책개요
광주송정역 앞 광장 조성
- 사업기간 : 2022년 ~ 2026년 (5년간)
- 사업장소 : 광주송정역 앞 일대
- 사업규모 : 광주송정역 앞 광장조성 7,500㎡
- 사업내용 :
- 광주송정역 앞 기존 광장부지를 재편하여 문화가 있는 광장 조성
- 문화광장 조성으로 광주송정역을 이용하는 광주시민 및 방문객들에게 휴식공간 및 만남의 장소 제공
- 소요예산 : 4,090백만원(시 4,000, 구 90)
3. 추진계획
연차별 추진계획
달성 최종목표 | 연차별 달성 목표 | |
---|---|---|
광주송정역 앞 문화광장 조성 | 2022 |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수립 용역 |
2023 |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수립 용역 | |
2024 | 사업추진 종합계획 수립, 광주송정역 앞 광장조성 | |
2025 | 광주송정역 앞 광장조성 | |
2026 | 광주송정역 앞 광장조성 |
추진일정
주요일정 |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임기후 | |||||||||||
---|---|---|---|---|---|---|---|---|---|---|---|---|---|---|---|---|---|
3 | 4 | 1 | 2 | 3 | 4 | 1 | 2 | 3 | 4 | 1 | 2 | 3 | 4 | 1 | 2 | 기간명시 | |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수립 용역 | |||||||||||||||||
사업추진 종합계획 수립 | |||||||||||||||||
광주송정역 앞 광장조성 |
4. 연차별 소요예산(투자계획)
(단위 : 백만원)
구 분 | 계 | 연도별 예산 | 임기후 | ||||
---|---|---|---|---|---|---|---|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
총 계 | 4,090 | 30 | 60 | 4,000 | |||
국 비 | |||||||
시 비 | 4,000 | 4,000 | |||||
구 비 | 90 | 30 | 60 | ||||
민자/기타 |
5. 공약이행 확인 지표
확인 지표 | 단위 | 목표(계) | 연차별 달성 목표 | ||||
---|---|---|---|---|---|---|---|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수립 용역 | % | 100 | 30 | 100 | |||
광장 조성사업 추진계획 수립 | 식 | 1 | 1 | ||||
광주송정역 앞 광장조성 | % | 100 | 20 | 50 | 100 |
6. 유관기관 협력 사항
- (권한) 광장부지 소유자(한국철도공사, 국토교통부) 사용가능여부 협의
- 區 도시계획과와 협업하여 광장부지 확장방안 중장기사업 검토
- 市 문화도시정책관에서 2023년 연차별 실시계획 수립한「광주송정역 아시아 문화중심도시 관문역화 사업」반영 건의
- 「KTX 투자선도지구 개발사업」반영 건의
7. 예상 문제점 및 해결방안
- 사업규모의 재원마련 필요
- ⇒ 부족사업비 특별교부세(금) 및 시비지원 등 지속 건의
- ⇒ 지자체 대상 정부 공모사업 선정 노력으로 추진동력 마련
8. 기대효과
- 광주 관문인 광주송정역의 특색있는 지역 명소화를 통해 문화도시 이미지 향상 및 관광산업 기여
- 광주송정역을 이용하는 광주시민 및 방문객들에게 휴식공간 및 만남의 장소를 제공
추진부서
- 건설과장 김동명(☎8550)
- 도로계획팀장 김홍기(☎8561)
- 담당 이가현(☎8563)
협조부서
- 도시계획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