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통으로 친근한 행정”
1-3 마을공동체 확대
사업성격 | 계속 | 사업주체 | 자체 | 달성기간 | 임기 내 |
---|
정책목표
- 주민역량강화를 통한 마을공동체 조성
- 중간지원조직 운영 강화
1. 현황
- 민 관 협력 활성화를 위한 중간지원조직과의 협치체계 강화 및 마을공동체 통합지원으로 지속가능한 지역공동체 기반 조성 필요
2. 정책개요
1) 주민역량강화를 통한 마을공동체 조성
- 기 간 : 2022년 ~ 지속
- 내 용 : 광산 오순도순 마을공동체 공모사업 활성화
- 자율주제 선정 방식으로 주민주도형 공모사업 추진
- <기존> 주제제시 방식(탑다운) → <개선> 자율주제 선정(바텀업)
- 공동체 성장과 자립을 위한 공모사업 체계화
- <기존> 새내기/마을의제 → <개선> 새내기(1년)-형성기(2년)-성장기(2년)로 구분 지원
- 민 관 협업체계로 동 단위 마을생태계 조성
- 주민자치회 마을계획 연계성 강화, 동별 상생네트워크 추진
- 자율주제 선정 방식으로 주민주도형 공모사업 추진
유형 | 내용 및 자격조건 | 지원금액 | 비고 |
---|---|---|---|
새내기 |
|
모임별 50만~1백만원 *최대 1년 지원 |
|
형성기 |
|
모임별 1백~3백만원 *최대 1년 지원 |
|
성장기 |
|
모임별 3백~7백만원 |
- 소요예산 : 1,430백만원(시 630, 구 800)
2) 중간지원조직 운영 강화
- 기 간 : 2022년 ~ 지속
- 내 용 : 법인운영 체계 확립을 위한 역할정립 및 전문성 강화
- ※ 법인설립(‘21.11.), 도시재생공동체센터(법인) 출범(’22.3.)
- 도시재생 마을공동체 통합 지원체계 수립 및 사업 홍보 활성화
- 실무지도력 역량강화 워크숍 교육 추진
- 도시재생 거버넌스 구축 교류 및 마을공동체 민 관협력 네트워크 활성화
- 마을활동가 인증체계 정립 및 관리강화
- (현장 전문성 강화) 마을활동 입문과정 후속 현장교육을 통한 전문 역량 강화
- (지속 가능한 일자리화)시, 공공기관, 민간단체 등 안정적 일자리사업 매칭 및 정보지원
- (경력 인증체계 정립)활동 경력 기록 DB관리‧활용, 수기 경력증명 발급 개선 등
- 소요예산 : 1,410백만원(시 140, 구 1,270)
3. 추진계획
연차별 추진계획
달성 최종목표 | 연차별 달성 목표 | |
---|---|---|
중간지원조직 및 주민역량강화를 통한 마을공동체 활성화 | 2022 |
|
2023 |
|
|
2024 |
|
|
2025 |
|
|
2026 |
|
추진일정
주요일정(연기/분기) |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임기후 | |||||||||||
---|---|---|---|---|---|---|---|---|---|---|---|---|---|---|---|---|---|
3 | 4 | 1 | 2 | 3 | 4 | 1 | 2 | 3 | 4 | 1 | 2 | 3 | 4 | 1 | 2 | 기간명시 | |
오순도순 마을살이 공모사업 추진 및 공모사업 체계화 | |||||||||||||||||
마을공동체 활성화 교육 및 워크숍 |
4. 연차별 소요예산(투자계획)
(단위 : 백만원)
구분 | 계 | 연도별 예산 | 임기후 | ||||
---|---|---|---|---|---|---|---|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
총 계 | 2,840 | 568 | 568 | 568 | 568 | 568 | |
국 비 | |||||||
시 비 | 770 | 154 | 154 | 154 | 154 | 154 | |
구 비 | 2,070 | 414 | 414 | 414 | 414 | 414 | |
민자/기타 |
5. 공약이행 확인 지표
확인 지표 | 단위 | 목표 (계) |
연차별 달성 목표 | ||||
---|---|---|---|---|---|---|---|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
오순도순 마을살이 공모사업 참여 공동체수 | 개 | 270 | 40 | 50 | 60 | 60 | 60 |
마을공동체 활성화 교육 및 워크숍 | 회 | 40 | 5 | 10 | 10 | 10 | 5 |
6. 유관기관 협력 사항
- (권한) 광주광역시, 마을공동체사업 공모사업 자치구 자율성 부여 필요
7. 예상 문제점 및 해결방안
- 중간지원조직과 구청 관계부서간의 협업체계 미흡
- ⇒ 정책플랫폼이 단기적으로 끝나지 않도록 활성화(관계 부서) 필요
- 공모사업 체계화 초기단계임에 따라 주민들의 공동체 사업 형성기 성장기에 대한 이해도 및 인식부족
- ⇒ 동별 공동체 상생네트워크 행사 추진 시 수시로 이해도 교육 실시
8. 기대효과
- 도시공동체센터가 자율성과 책임성을 기반으로 자립 정착할 수 있는 계기 마련
- 공동체활동이주민을이롭게할수있는마을공동체까지연계될수있는체제마련
추진부서
- 주민자치과장 김팔용(☎8630)
- 주민자치팀장 강민수(☎8101)
- 담당 이귀호(☎8108)
- 마을공동체팀장 박숙아(☎8525)
- 담당 김신희(☎8526)
협조부서
- 도시재생과, 지속성장일자리과, 생명농업과, 여성아동과, 교육도서관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