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병규 광산구청장 매니페스토 - 실천계획

상생과 혁신으로
광산을 새롭게 시민을 이롭게

시민과 연대・협력하고, 새로운 기회와 활력을 모색하여
지역을 새롭게 변화・발전시키고
시민 모두를 이롭게 하는 광산을 구현하겠습니다.

"문화관광 꽃피는 도시"

4-11 생활 속 특색있는 녹색 탄소 흡수원 확충

해당 정책의 사업성격, 사업주체, 달성기간을 나누어 안내하는 표입니다.
사업성격 계속 사업주체 자체 달성기간 임기내

정책목표

  • 생활권 주변 다양한 공간에 도시기후환경 개선을 위한 그린인프라를 구축하여 기후변화 대응 및 탄소중립 실현 기여
1. 현황
  • 미세먼지·폭염·열섬현상 등 환경문제가 심각해지는 가운데, 도시 생활환경 개선 및 온실가스 감축수단으로 녹색숲의 기능이 부각
  • 산림에서 생성된 양질의 공기를 주민 생활 공간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도시바람길숲 등을 조성하여 생활 속 탄소흡수원 확충
2. 정책개요
생활 속 특색있는 녹색 탄소 흡수원 확충
  • 사업기간 : ’22. 7. ~ ’23. 12.
  • 대 상 : 가로공간, 녹지, 유휴토지 등
  • 조성유형 : 도시바람길숲, 녹지한평늘리기, 힐링정원조성
    • 도시바람길숲 : 상무대로 등 7개소 / 수목 및 초화류 식재 / 3,134백만원
    • 녹지한평늘리기 : 월곡지구 등 2개소 / 녹도 조성 등 / 170백만원
    • 힐링정원조성 등 : 신가지구 등 12개소 / 미래숲, 꽃단지 조성 등 / 2,070백만원
  • 소요예산 : 5,374백만원(국 1,792, 시 2,857, 구비 725)

1) 탄소절감을 위한 생활밀착형 도시바람길 숲 조성

  • 사업기간 : ’22. 7. ~ ’23. 11.
  • 대 상 : 상무대로 등 7개소
  • 사업내용 : 수목 및 초화류 식재 등
  • 소요예산 : 3,134백만원(국 1,567, 시 1,567)

2) 천연 공기청정기 녹지한평 늘리기

  • 사업기간 : ’22. 7. ~ ’23. 12.
  • 대 상 : 월곡지구 등 2개소
  • 사업내용 : 녹도 조성 등
  • 소요예산 : 170백만원(시 170)

3) 도심 속 머물고 싶은 힐링정원 조성

  • 사업기간 : ’22. 7. ~ ’23. 12.
  • 대 상 : 신가지구 등 12개소
  • 사업내용 : 미래숲, 꽃단지 조성 등
  • 소요예산 : 2,070백만원(국 225, 시 1120, 구 725)
3. 추진계획
연차별 추진계획
연차별 계획정보를 제공하는 표입니다.
달성 최종목표 연차별 달성 목표
기후변화 대응 및 탄소중립 실현 기여 2022 도시바람길숲,녹지한평늘리기,힐링정원조성사업 등 추진
2023 도시바람길숲,녹지한평늘리기,힐링정원조성사업 등 추진
추진일정
추진일정을 제공하는 표입니다.
주요일정(연도/분기) 2022 2023 2024 2025 2026 임기후
3 4 1 2 3 4 1 2 3 4 1 2 3 4 1 2 지속운영
도시바람길숲 조성
녹지한평늘리기
힐링정원 조성
4. 연차별 소요예산(투자계획)

(단위 : 백만원)

연차별 소요예산(투자계획)을 제공하는 표입니다.
구 분 연도별 예산 임기후
2022 2023 2024 2025 2026
총 계 5,374 2,140 3,234
국 비 1,792 725 1,067
시 비 2,857 840 2,017
구 비 725 575 150
민자/기타
5. 공약이행 확인 지표
공약이행 확인 지표를 제공하는 표입니다.
확인 지표 단위 목표(계) 연차별 달성 목표
2022 2023 2024 2025 2026
도시바람길숲 조성 7 2 5
녹지한평 늘리기 2 1 1
힐링정원 조성 12 6 6
6. 유관기관 협력 사항
  • (재정) 2022년 하반기 도시바람길숲 조성 사업비 등 3,000백만원(국비 50%,시비50%) 확보
7. 예상 문제점 및 해결방안
  • 사업비 대부분이 국·시비 보조예산으로 산림정책에 따라 예산 확보 불확실함
  • ⇒ 산림청(도시숲경관과) 및 市(녹지정책과)와 긴밀한 협력체계 구축
8. 기대효과
탄소 흡수원 확충
  • 나무 1그루는 연간 이산화탄소 2.5톤 흡수하며, 산소 1.8톤 방출하여 기후 변화 대응 기여
미세먼지 저감효과
  • 나무 한 그루당 연간 35.7g(에스프레소 한잔)의 미세먼지를 저감하여, 경유차 1대의 연간 미세먼지 해결에는 약 47그루의 나무가 필요
기후 완화
  • 숲은 온도를 약 3~7℃ 완화하고, 습도는 약 9~23% 상승시키는 등 친자연적인 기후조절 기능으로 우리에게 쾌적한 생활환경 제공
소음감소 및 심리적 안정감 제공
  • 도시숲의 큰나무는 도심속 소음 10dB을 감소시켜 편안한 일상생활을 유지시켜 주며, 심리적 안정감과 스트레스를 해소함

추진부서

  • 공원녹지과장 최정광(☎8700)
  • 팀장 이가형, 정광숙, 방인애, 임선숙(☎8715)
  • 담당 김현정, 유진현, 정인호, 이유정(☎8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