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병규 광산구청장 매니페스토 - 실천계획

상생과 혁신으로
광산을 새롭게 시민을 이롭게

시민과 연대・협력하고, 새로운 기회와 활력을 모색하여
지역을 새롭게 변화・발전시키고
시민 모두를 이롭게 하는 광산을 구현하겠습니다.

"상생으로 튼실한 경제”

2-1 지속가능성장 경제특구 추진

해당 정책의 사업성격, 사업주체, 달성기간을 나누어 안내하는 표입니다.
사업성격 신규 사업주체 국가, 자체 달성기간 임기 내

정책목표

  • 지속가능한 일자리 모델*의 확산·정착으로 기업환경 조성 및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통한 지역경제 활력 제고
    • * 지역 경제주체(노·사·민·정)가 적정 근로조건, 노사관계 안정, 생산성 향상, 인프라· 복지 협력 등을 양보와 타협을 통해 함께 도모하는 지속가능한 일자리 모델
1. 현황
  • 지난 3년의 코로나 팬데믹으로 지역의 저성장과 실업, 양극화와 불평등이 심화됨에 따라 사회적 갈등 고조 및 지역경제 위기 봉착
  • 이러한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제주체간 양보과 협력을 바탕으로 한 지속가능한 지역일자리 모델의 확산·정착 필요
2. 정책개요
  • 정 책 명 : 지속가능성장 경제특구 추진
  • 추진방향
    • ① 정부의 행‧재정적 지원의 실효성 확보 제도적 기반 마련
    • ② 지속가능한 지역일자리의 사회적 저변 확대
  • 추진기간 : 2022년 ~ 2026년
  • 주요내용
    • 지속가능성장 경제특구 추진을 위한 전담부서 및 현장 출장소 신설
    • 지속가능성장 경제특구 추진 협의체 등 네트워크 구성·운영
    • 지속가능성장 경제특구 육성을 위한 법률(안) 제안 등
    • 노사민정협의회 및 지역사회 서포터즈 활용, 지역사회 분위기 조성
  • 소요예산 : 80백만원(구비 80)
3. 추진계획
연차별 추진계획
연차별 추진계획을 제공하는 표입니다.
달성 최종목표 연차별 달성 목표
지속가능한 일자리 모델의 확산·정착으로 기업환경 조성 및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통한 지역경제 활력 제고 2022 전담조직 구성(안) 및 기본계획(안) 마련
2023 지속가능성장 경제특구 추진 협의체 구성·운영
2024 서포터즈 활용 지역사회 분위기 조성
2025 법률(안) 제안 및 지속가능성장 경제특구 조성
2026 지속가능성장 경제특구 지속 추진 및 운영
추진일정
추진일정을 제공하는 표입니다.
주요일정(연기/분기) 2022 2023 2024 2025 2026 임기후
3 4 1 2 3 4 1 2 3 4 1 2 3 4 1 2 기간명시
전담조직 구성
기본계획 수립
지역사회 네트워크 운영
제도개선을 위한 근거마련(조례 등)
지속가능성장 경제특구 조성
4. 연차별 소요예산
(단위 : 백만원)
연차별 소요예산을 제공하는 표입니다.
구분 연도별 예산 임기후
2022 2023 2024 2025 2026
총 계 360 70 70 150 70
국 비
시 비
구 비 360 70 70 150 70
민자/기타
5. 공약이행 확인 지표
공약이행을 제공하는 표입니다.
확인 지표 단위 목표
(계)
연차별 달성 목표
2022 2023 2024 2025 2026
기본계획 수립 1 - 1 - - -
전담조직 구성 1 - 1 - - -
경제특구 추진협의체 구성 1 - 1 - - -
경제특구 추진사업
(지역사회 서포터즈, 심포지엄 등)
연1회 - 1 1 1 -
제도개선을 위한 근거마련(조례 등) 1 - - - - 1
6. 유관기관 협력 사항
  • (재정)기획재정부·산업통상자원부·고용노동부·중소벤처기업부 등, 노동자 고용안정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해 인프라 조성 및 복지정책 추진을 위한 촘촘한 지원 협력
7. 예상 문제점 및 해결방안
  • 지속가능성장 경제특구의 추진을 위한 지역사회 공감대 필요
    • ⇒ 상생형일자리 추진 지자체(11개 지역)간 긴밀한 협력체계 구축
    • ⇒ 지역 경제주체간 꾸준한 소통으로 지속가능한 일자리모델의 확산 및 정착을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 필요 공감대 형성
  • 사회적합의를 위한 경제주체별 이해관계 조정자 및 일자리 전문가 필요
    • ⇒ 지속가능한 지역일자리 전문가 및 조정자(Key man) 발굴·양성
8. 기대효과
  • 지속가능성장 경제특구 육성에 관한 법률(안) 제안 후, 지속가능한 지역 일자리모델의 전국 확산 및 정착

추진부서

  • 지속성장일자리과장 전경희(☎8410)
  • 지속성장특구조성팀장 명등용(☎8425)
  • 담당 공아윤(☎8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