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병규 광산구청장 매니페스토 - 실천계획

상생과 혁신으로
광산을 새롭게 시민을 이롭게

시민과 연대・협력하고, 새로운 기회와 활력을 모색하여
지역을 새롭게 변화・발전시키고
시민 모두를 이롭게 하는 광산을 구현하겠습니다.

"상생으로 튼실한 경제”

2-7 사회적경제 활성화

해당 정책의 사업성격, 사업주체, 달성기간을 나누어 안내하는 표입니다.
사업성격 계속 사업주체 자체 달성기간 임기 내

정책목표

  • 사회적경제기업의 체계적 지원을 통한 역량강화, 사회적경제기업의 발굴.육성으로 사회적경제 활성화 도모
1. 현황
  • 사회적경제기업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기업의 질적 성장 및 역량강화 지원 방안 필요
    • ※ 광산구 사회적경제기업 수 증가 ‘20년 280개 → ’21년 307개 → ‘22년 5월 314개
  • 사회적경제 가치에 대한 지역사회의 인식확산이 지역경제 활성화로 연결되도록 사회적경제 육성을 위한 정책 발굴 중요
2. 정책개요
상생과 협력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
  • 사업기간 : 2022년 ~ 지속
  • 사업장소 : 광산구 일원
  • 사업내용
    • (사회적경제기업 육성) 사회적경제기업 발굴 및 육성 지원
      • 지역내 사회적경제기업을 발굴하여 안정적인 수익구조 갖추도록 사업비 등 지원
      • 마을공동체 기반 단체에 대한 전문적인 방식의 지원체계 및 성장지원 인프라 구축
      • 사회적경제 주체 및 유관기관의 협업체계를 주축으로 연대와 상생 중심의 공동사업 추진
      • 사회적경제 현장의 의견을 반영한 실질적인 정책사업 발굴 및 각 사업분야별 정책 연계를 통한 협업 사업 추진
    • (기업 경쟁력 강화) 사회적경제기업 역량강화 판로 지원사업
      • 분야별 교육사업 추진으로 기업역량 강화 및 생활밀접형 장터 등 판매전을 통한 사회적경제 제품의 오프라인 판로 확대 지원
      • 광산구 사회적경제 온라인스토어 “한다점빵” 확장 운영
  • 소요예산 : 500백만원(국 200, 시 225, 구 75)
3. 추진계획
연차별 추진계획
연차별 추진계획을 제공하는 표입니다.
달성 최종목표 연차별 달성 목표
사회적경제 활성화 2022 사회적경제기업 발굴 및 육성 지원
2023 사회적경제 공동브랜드 “한다”를 매개로한 온라인스토어 활성화
2024 사회적경제기업의 역량강화 및 판로확대를 위한 실질적 지원
2025 사회적경제 협업 지원체계 활성화
2026 사회적경제기업 자립기반 마련을 위한 재정지원
추진일정
추진일정을 제공하는 표입니다.
주요일정(연기/분기) 2022 2023 2024 2025 2026 임기후
3 4 1 2 3 4 1 2 3 4 1 2 3 4 1 2
사회적경제 육성 및 지원
사회적경제 교육 및 판로 확대 지원
4. 연차별 소요예산(투자계획)
(단위 : 백만원)
연차별 소요예산을 제공하는 표입니다.
구분 연도별 예산 임기후
2022 2023 2024 2025 2026
총 계 500 100 100 100 100 100
국 비 200 40 40 40 40 40
시 비 225 45 45 45 45 45
구 비 75 15 15 15 15 15
민자/기타 - - - - - -
5. 공약이행 확인 지표
공약이행을 제공하는 표입니다.
확인 지표 단위 목표
(계)
연차별 달성 목표
2022 2023 2024 2025 2026
사회적경제 기업 발굴 및 지원 개소 8 1 2 2 2 1
역량강화 교육지원 및 판매·홍보전 개최 8 1 2 2 2 1
6. 유관기관 협력 사항
  • (재정) 행정안전부, 사회적경제 협업체계 구축사업 공모를 통한 국·시비 예산 확보
  • (재정) 고용노동부, 사회적기업 지역특화사업 공모를 통한 국 구비 예산 확보
  • (재정) 시, 협동조합 활성화 지원사업 공모를 통한 시비 예산 확보
7. 예상 문제점 및 해결방안
  • (사회적 경제 기업 육성) 사회적경제 기업 발굴 및 육성 지원
    • 사회적가치와 이윤을 동시에 창출하는 사회적경제의 개념적 접근의 어려움
    • ⇒ 지역 대학과 협업하여 청년이 대안을 마련하고 실험할 수 있도록 파트너십 구축 및 청년 인재 양성
  • (기업 경쟁력 강화) 사회적경제 기업 역량강화 및 판로 지원사업
    • 사회적경제 기업의 인기상품에 집중 홍보로 인한 균등한 기회제공의 한계
    • ⇒ 공동마케팅 사업 지원 등 온라인스토어 “한다점빵” 전국적인 홍보 지원 확대
8. 기대효과
  • 사회적경제 기업 발굴·육성으로 소득 및 일자리를 창출하여 사회적 경제의 긍정적인 인식 확산 및 지역 공동체 이익 실현

추진부서

  • 시민경제과장 백정순(☎3880)
  • 사회적경제팀장 김미숙(☎3600)
  • 담당 박경희(☎38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