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생으로 튼실한 경제”
2-7 사회적경제 활성화
- 사회적경제기업의 체계적 지원을 통한 역량강화, 사회적경제기업의 발굴.육성으로 사회적경제 활성화 도모
1. 현황
- 사회적경제기업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기업의 질적 성장 및 역량강화 지원 방안 필요
- ※ 광산구 사회적경제기업 수 증가 ‘20년 280개 → ’21년 307개 → ‘22년 5월 314개
- 사회적경제 가치에 대한 지역사회의 인식확산이 지역경제 활성화로 연결되도록 사회적경제 육성을 위한 정책 발굴 중요
2. 정책개요
상생과 협력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
- 사업기간 : 2022년 ~ 지속
- 사업장소 : 광산구 일원
- 사업내용
- (사회적경제기업 육성) 사회적경제기업 발굴 및 육성 지원
- 지역내 사회적경제기업을 발굴하여 안정적인 수익구조 갖추도록 사업비 등 지원
- 마을공동체 기반 단체에 대한 전문적인 방식의 지원체계 및 성장지원 인프라 구축
- 사회적경제 주체 및 유관기관의 협업체계를 주축으로 연대와 상생 중심의 공동사업 추진
- 사회적경제 현장의 의견을 반영한 실질적인 정책사업 발굴 및 각 사업분야별 정책 연계를 통한 협업 사업 추진
- (기업 경쟁력 강화) 사회적경제기업 역량강화 판로 지원사업
- 분야별 교육사업 추진으로 기업역량 강화 및 생활밀접형 장터 등 판매전을 통한 사회적경제 제품의 오프라인 판로 확대 지원
- 광산구 사회적경제 온라인스토어 “한다점빵” 확장 운영
- 소요예산 : 500백만원(국 200, 시 225, 구 75)
3. 추진계획
연차별 추진계획
추진일정
4. 연차별 소요예산(투자계획)
(단위 : 백만원)
5. 공약이행 확인 지표
6. 유관기관 협력 사항
- (재정) 행정안전부, 사회적경제 협업체계 구축사업 공모를 통한 국·시비 예산 확보
- (재정) 고용노동부, 사회적기업 지역특화사업 공모를 통한 국 구비 예산 확보
- (재정) 시, 협동조합 활성화 지원사업 공모를 통한 시비 예산 확보
7. 예상 문제점 및 해결방안
- (사회적 경제 기업 육성) 사회적경제 기업 발굴 및 육성 지원
- 사회적가치와 이윤을 동시에 창출하는 사회적경제의 개념적 접근의 어려움
- ⇒ 지역 대학과 협업하여 청년이 대안을 마련하고 실험할 수 있도록 파트너십 구축 및 청년 인재 양성
- (기업 경쟁력 강화) 사회적경제 기업 역량강화 및 판로 지원사업
- 사회적경제 기업의 인기상품에 집중 홍보로 인한 균등한 기회제공의 한계
- ⇒ 공동마케팅 사업 지원 등 온라인스토어 “한다점빵” 전국적인 홍보 지원 확대
8. 기대효과
- 사회적경제 기업 발굴·육성으로 소득 및 일자리를 창출하여 사회적 경제의 긍정적인 인식 확산 및 지역 공동체 이익 실현
추진부서
- 시민경제과장 백정순(☎3880)
- 사회적경제팀장 김미숙(☎3600)
- 담당 박경희(☎38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