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생으로 튼실한 경제”
2-9 먹거리 상생도시 광산 푸드플랜 구축
- 도농 복합도시 광산 농업인의 안정적 소득과 소비자의 건강 먹거리 연계를 위한 총괄적 먹거리 통합정책 추진
1. 현황
- 효율성을 강조하는 기존 먹거리 시장의 다양한 문제점 야기
- 식품안전사고, 먹거리 양극화, 대기업 집적화 및 탄소배출량 증가
- 국가 및 지역단위 먹거리계획 정책 도입 이후(‘17~)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먹거리 선순환 체계 구축 움직임이 급속히 확산
- (푸드플랜 추진 지자체) : (’19) 49개소 → (’20) 91개소 → (’21) 111개소
- (광산구푸드플랜연구용역추진):기간21.4~22.1/예산76,000천원/농림부공모사업
- 지역 먹거리계획 수립지원 근거 마련 법 개정 및 조례 제정
-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기본법」제23조의3(지역먹거리계획의 수립) 개정(‘22.1.4.)
- 「광산구 상생먹거리 지원에 관한 기본 조례」 제정(‘20.11.17.)
- ※ 지역 먹거리계획의 내용, 먹거리위원회의 구성, 먹거리통합지원센터의 기능, 운영 및 지원 근거 등 포함
2. 정책개요
농촌고용인력지원
광산구 푸드플랜 주요 수립 (안)
세부사업 계획
- 세부사업명
-
2022년
- 푸드플랜종합계획 수립
- 먹거리시민위원회 운영
- 농가조직화
- 푸드플랜아카데미
- 사업내용
-
종합계획 구축
- 지역생산-지역소비 선순환체계 구축 정책수립
- 시민 참여형 정책 수립을 위한 위원회 운영
- 공공급식・직매장 출하농가 모집(100명~150명 모집)
- 지역 푸드플랜 협력자・활동가 등 양
- 세부사업명
-
2023년
- 공공급식지원센터 개관
- 로컬푸드직매장
- 공유부엌
- 안전성 검사
- 사업내용
-
기반시설 구축
- 학교급식지원센터 → 공공급식지원센터로 전환
- 로컬푸드 전문관 및 공유부엌 조성
- - 사업장 위치 : 도산동 634, 건축면적 241m²
- 출하 농산물 잔류농약검사 추진(매년 추진)
- 세부사업명
-
2024년~
- 공공‧복지 급식 확대
- 로컬푸드 직매장
- 기관간협력체
- 사업내용
-
공급확대 및 활성화
- 공공기관‧복지기관 등 식재료 납품 확대
- 로컬푸드 직매장 추가 개장(농협 지원)
- 광주광역시‧장성군 등과 협력관계 구축
3. 추진계획
연차별 추진계획
추진일정
4. 연차별 소요예산(투자계획)
(단위 : 백만원)
5. 공약이행 확인 지표
6. 유관기관 협력 사항
- 광주광역시 상생협력 구축 : 광주광역시 푸드플랜과 상생협력 구축
추진방향
-
區 역할
인적자원 발굴운영
- 농가조직화 및 기획생산체계 구축
- 사회적경제조직 등 발굴 협력체계 구축
- 도시농업 및 식농교육 등
-
市 역할
물적자원 기반조성
- 농업환경종합분석실 운영(농업기술센터)
- 먹거리통합물류센터 건립
- 지역가공센터 건립
- 장성군 상생협력 구축 : 먹거리 상생 업무협약(‘22.1. 추진) 및 협력관계 구축
- 장성로컬푸드 직매장(’22.6.28. 개장)에 광산구 농업인 농산물 출하 중
- 먹거리 관련 단체와 협업하여 공동체 실현 : 공유부엌 조성하여 로컬 식재료를 활용한 봉사단체, 사회적경제조직 등과 협업하여 돌봄이웃 나눔공간으로 활용
7. 예상 문제점 및 해결방안
- 광산먹거리 공동체 추진으로 먹거리 공공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향후 사업 추진(먹거리통합지원센터 건립, 대규모 직매장 등)에 과도한 예산 필요
- ⇒ 광역시 단위 먹거리 종합계획(푸드플랜) 수립을 요청하여 市 와 함께 협력하여 지역 푸드플랜 구축 추진
8. 기대효과
- 41만 광산구 시민의 먹거리 기본권 보장, 삶의 질 제고
- 예측가능한 생산-소비의 실현으로 가족소농 소득안정, 지역활성화
- 지역 내 자원 선순환을 통한 지역경제 활력 도모
추진부서
- 생명농업과장 강영구(☎8490)
- 먹거리정책팀장 최승훈(☎8501)
- 담당 문상희(☎8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