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통으로 친근한 행정”
1-2 주민자치회 전면 전환 지원
사업성격 | 계속 | 사업주체 | 자체 | 달성기간 | 임기 내 |
---|
정책목표
- 주민자치의 자율성 강화 및 자립성 향상
- 주민자치회 역량 및 지역 현안문제 해결력 강화
1. 현황
- 자치분권·균형발전을 위해 주민자치회 전환 지속 추진

2. 정책개요
주민자치회 전면 전환으로 자치 자율성 제고
- 사업기간 : ~ 2024년
- 사업대상 : 주민자치회 미시행 9개동
(송정1 2동, 도산동, 신흥동, 비아동, 임곡동, 동곡동, 삼도동, 본량동) - 사업내용 : 기존 위원회의 한계를 보완한 주민자치회 설립 지원
- 주민자치회 미전환 동 멘토링 연계 추진
- 주민자치회 활동방법, 분과구성, 위원 모집 등 우수사례 지도·조언
- 사전 주민역량강화 교육 및 전문가 컨설팅 지원
- 소요예산 : 6,806백만원(시비 947, 구비 5,859)
※ 주민자치 인식개선 및 역량강화 지원
- 사업기간 : 2022년 ~ 지속
- 사업대상 : (예비)주민자치위원, 주민, 관계공무원 등
- 사업내용
- 주민자치 활동공유를 온라인플랫폼 구축
- 동 특성 및 대상별 맞춤형 주민자치교육 지원
주민자치 제도 개선·기능 강화
- 사업기간 : 2022년 ~ 지속
- 추진방법 : 민·관 정책지원단 구성 운영
- 사업내용 : 주민자치회 기능.권한 강화 위한 제도 개선 추진
- 동별 특성에 맞는 주민자치회 위원 선정 방식 및 위원 구성 방안
- 주민자치프로그램 사무위탁 등 위.수탁사무 발굴 및 확대 운영 등
3. 추진계획
연차별 추진계획
달성 최종목표 | 연차별 달성 목표 | |
---|---|---|
|
2022 | 주민자치회 전면 전환 준비 |
2023 | 온라인플랫폼 구축 | |
2024 | 주민자치회 전면 실시, 제도개선 | |
2025 | 주민자치 활성화사업 강화 | |
2026 |
추진일정
주요일정(연기/분기) |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임기후 | |||||||||||
---|---|---|---|---|---|---|---|---|---|---|---|---|---|---|---|---|---|
3 | 4 | 1 | 2 | 3 | 4 | 1 | 2 | 3 | 4 | 1 | 2 | 3 | 4 | 1 | 2 | 기간명시 | |
주민자치회 전면 전환(21개동) | |||||||||||||||||
주민자치회 제도개선 |
4. 연차별 소요예산(투자계획)
(단위 : 백만원)
구분 | 계 | 연도별 예산 | 임기후 | ||||
---|---|---|---|---|---|---|---|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
총 계 | 6,806 | 1,182 | 1,306 | 1,481 | 1,456 | 1,381 | |
국 비 | |||||||
시 비 | 947 | 232 | 215 | 265 | 155 | 80 | |
구 비 | 5,859 | 950 | 1,091 | 1,216 | 1,301 | 1,301 | |
민자/기타 |
5. 공약이행 확인 지표
구분 | 단위 | 목표 (계) |
연도별 예산 | ||||
---|---|---|---|---|---|---|---|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
주민자치회 전면 전환 | 동 수(누계) | 9(21) | 3(15) | 3(18) | 3(21) | ||
정책지원단 구성·운영 | 회 | 3 | 1 | 1 | 1 |
6. 유관기관 협력 사항
- (제도) 행정안전부,「지방자치법」 개정 필요 등 대안 제시
- (재정) 市자치행정과, 주민자치회 시범동 공모 통한 시비 예산 확보
7. 예상 문제점 및 해결방안
- 주민자치회 전면 시행에 대한 주민공감 참여 필요
- ⇒ 주민자치회에 대한 인식교육과 역량강화교육 동시 추진
- 자치회 전환 추진 시 이해관계에 따른 내·외부 갈등 발생 가능
- ⇒ 주민자치회에 대한 인식교육과 역량강화교육 동시 추진
8. 기대효과
- 광주 자치구 중 최초로 모든 동이 주민자치회로 전면 시행 (‘23~’24)으로 지역문제를 직접 주민들이 해결하는 역량 강화
- 주민자치조직, 전문가, 중간지원조직, 구의원, 공무원 구성의 민·관 거버넌스 정책지원단 구축·운영으로 주민자치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등 광산형 주민자치회 모델 마련에 기여
추진부서
- 주민자치과장 김팔용 (☎8630)
- 주민자치팀장 강민수 (☎8101)
- 담당 홍태화 (☎8103)
협조부서
각 행정복지센터 동장/ 행복자치팀장/ 자치회 담당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