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병규 광산구청장 매니페스토 - 실천계획

상생과 혁신으로
광산을 새롭게 시민을 이롭게

시민과 연대・협력하고, 새로운 기회와 활력을 모색하여
지역을 새롭게 변화・발전시키고
시민 모두를 이롭게 하는 광산을 구현하겠습니다.

"문화관광 꽃피는 도시"

4-4 마한(馬韓)역사문화권 체험콘텐츠 개발

해당 정책의 사업성격, 사업주체, 달성기간을 나누어 안내하는 표입니다.
사업성격 계속 사업주체 국가, 광주시, 자체 달성기간 임기내

정책목표

  • 마한 역사문화 체험 콘텐츠 개발을 통한 지역관광 활성화
1. 현황
  • 광주 신창동 유적(*광산구의 유일한 국가 사적지로, 마한 초기에 해당되는, 아시아 최대 복합농경유적으로서 역사문화를 관광자원화 할 수 있는 최대의 보고임)이 마한역사문화권에 포함됨에 따라 해당 유적을 거점으로 하는 마한역사 문화권의 문화유산 활용을 통해 고대 마한의 역사적 가치를 재조명 하고자 함
  • 역사관광 특화모델 구축(*마한역사문화권의 정비계획 수립과 체험콘텐츠 기준제시를 위함)을 위한 초광역(문화재청·광주광역시·광주 역사민속박물관) 협력
2. 정책개요
지역문화재 활용사업(생생문화재 사업)
  • 사업기간 : 2022. 1. ~ 2024. 12.
  • 사업장소 : 광주 신창동 유적(사적 제375호)
  • 사업규모 : 세부프로그램 총 100회/ 예정 참여인원 3,500명
  • 사업내용 :
    • 선사 ~ 역사시대의 생활상이 담긴 신창동 유적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국가사적지로서 관광자원의 중요성을 부각.
    • 2,000년 전 선사시대 콘텐츠(*지역문화재활용사업(생생문화재사업) 콘텐츠 : 타임캡슐 목수공방, 직조공방, 신창동 사냥꾼 등 체험 프로그램)를 개발하여 당시의 발굴 유물을 통한 적정기술에 대한 실질적 접근을 하고자 함.
    • 체험 공방운영을 통해 마을-문화재, 선사체험학습관을 연계하여 광산구 대표 관광지로 브랜드화하고자 함.
  • 소요예산 : 150백만원(국 40%, 시 30%, 구 30%)
자원연계(실감형콘텐츠) 운영
  • 사업기간 : 2025. 1. ~ 2026. 12.
  • 사업장소 : 마한 역사문화권 일대
  • 사업내용 :
    • 마한의 역사적 사실과 당시 생활을 스토리텔링하여 실감콘텐츠를 개발, 역사 체험의 장으로 운영.
  • 소요예산 : 200백만원(국 40%, 시 30%, 구 30%) ※공모사업연계
3. 추진계획
연차별 추진계획
연차별 계획정보를 제공하는 표입니다.
달성 최종목표 연차별 달성 목표
마한 역사문화 체험 콘텐츠 개발을 통한 지역관광 활성화 2022 콘텐츠개발(문화재활용사업) 운영
2023 콘텐츠개발(문화재활용사업) 운영
2024 자원연계(실감형콘텐츠)를 위한 준비
2025 자원연계(실감형콘텐츠) 운영
2026 콘텐츠를 통한 마한문화자원 활성화와 관광자원화
추진일정
추진일정을 제공하는 표입니다.
주요일정(연도/분기) 2022 2023 2024 2025 2026 임기후
3 4 1 2 3 4 1 2 3 4 1 2 3 4 1 2 계속
콘텐츠개발(문화재활용사업)
자원연계(실감형콘텐츠)
  • ※ 2024년에 이어 2025년부터 지역문화재 활용사업(생생문화재 사업) 지속 운영 예정
  • ※ 자원연계(실감형콘텐츠)는 임기후 지속 운영 예정
4. 연차별 소요예산(투자계획)

(단위 : 백만원)

연차별 소요예산(투자계획)을 제공하는 표입니다.
구 분 연도별 예산 임기후
2022 2023 2024 2025 2026
총 계 350 50 50 50 100 100
국 비 140 20 20 20 40 40
시 비 105 15 15 15 30 30
구 비 105 15 15 15 30 30
민자/기타
5. 공약이행 확인 지표
공약이행 확인 지표를 제공하는 표입니다.
확인 지표 단위 목표(계) 연차별 달성 목표
2022 2023 2024 2025 2026
콘텐츠개발(문화재활용사업) 3 1 1 1
자원연계(실감형콘텐츠) % 100 50 100
6. 유관기관 협력 사항
  • (제도) 문화재청, 광주광역시의 마한역사문화권의 정비계획 수립
  • (재정) 문화재청, 광주광역시의 마한역사문화 지역문화재 활용사업 공모를 통한 예산 확보
7. 예상 문제점 및 해결방안
  • 광산 문화유산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문화재 활용과 문화재 보존·관리 업무의 분리 필요
  • 문화재청, 광주광역시, 광주역사민속박물관과의 초광역 협의를 해야 하는 문화재(국가사적지)로서 발굴 정비가 지자체로만은 절대적 한계가 있음.
8. 기대효과
  • 문화재청 생생문화재 사업 총 진행 횟수 및 참여 인원 매년 증가
  • 市선사체험학습관과 연계한 복합체험(선사·마한) 프로그램 구현

추진부서

  • 관광육성과장 최문천(☎6850)
  • 문화재활용팀장 백옥연(☎8272)
  • 담당 이란영(☎8255)

협조부서

  • 문화재청, 광주광역시 문화기반조성과, 역사민속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