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관광 꽃피는 도시"
4-4 마한(馬韓)역사문화권 체험콘텐츠 개발
사업성격 | 계속 | 사업주체 | 국가, 광주시, 자체 | 달성기간 | 임기내 |
---|
정책목표
- 마한 역사문화 체험 콘텐츠 개발을 통한 지역관광 활성화
1. 현황
- 광주 신창동 유적(*광산구의 유일한 국가 사적지로, 마한 초기에 해당되는, 아시아 최대 복합농경유적으로서 역사문화를 관광자원화 할 수 있는 최대의 보고임)이 마한역사문화권에 포함됨에 따라 해당 유적을 거점으로 하는 마한역사 문화권의 문화유산 활용을 통해 고대 마한의 역사적 가치를 재조명 하고자 함
- 역사관광 특화모델 구축(*마한역사문화권의 정비계획 수립과 체험콘텐츠 기준제시를 위함)을 위한 초광역(문화재청·광주광역시·광주 역사민속박물관) 협력
2. 정책개요
지역문화재 활용사업(생생문화재 사업)
- 사업기간 : 2022. 1. ~ 2024. 12.
- 사업장소 : 광주 신창동 유적(사적 제375호)
- 사업규모 : 세부프로그램 총 100회/ 예정 참여인원 3,500명
- 사업내용 :
- 선사 ~ 역사시대의 생활상이 담긴 신창동 유적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국가사적지로서 관광자원의 중요성을 부각.
- 2,000년 전 선사시대 콘텐츠(*지역문화재활용사업(생생문화재사업) 콘텐츠 : 타임캡슐 목수공방, 직조공방, 신창동 사냥꾼 등 체험 프로그램)를 개발하여 당시의 발굴 유물을 통한 적정기술에 대한 실질적 접근을 하고자 함.
- 체험 공방운영을 통해 마을-문화재, 선사체험학습관을 연계하여 광산구 대표 관광지로 브랜드화하고자 함.
- 소요예산 : 150백만원(국 40%, 시 30%, 구 30%)
자원연계(실감형콘텐츠) 운영
- 사업기간 : 2025. 1. ~ 2026. 12.
- 사업장소 : 마한 역사문화권 일대
- 사업내용 :
- 마한의 역사적 사실과 당시 생활을 스토리텔링하여 실감콘텐츠를 개발, 역사 체험의 장으로 운영.
- 소요예산 : 200백만원(국 40%, 시 30%, 구 30%) ※공모사업연계
3. 추진계획
연차별 추진계획
달성 최종목표 | 연차별 달성 목표 | |
---|---|---|
마한 역사문화 체험 콘텐츠 개발을 통한 지역관광 활성화 | 2022 | 콘텐츠개발(문화재활용사업) 운영 |
2023 | 콘텐츠개발(문화재활용사업) 운영 | |
2024 | 자원연계(실감형콘텐츠)를 위한 준비 | |
2025 | 자원연계(실감형콘텐츠) 운영 | |
2026 | 콘텐츠를 통한 마한문화자원 활성화와 관광자원화 |
추진일정
주요일정(연도/분기) |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임기후 | |||||||||||
---|---|---|---|---|---|---|---|---|---|---|---|---|---|---|---|---|---|
3 | 4 | 1 | 2 | 3 | 4 | 1 | 2 | 3 | 4 | 1 | 2 | 3 | 4 | 1 | 2 | 계속 | |
콘텐츠개발(문화재활용사업) | |||||||||||||||||
자원연계(실감형콘텐츠) |
- ※ 2024년에 이어 2025년부터 지역문화재 활용사업(생생문화재 사업) 지속 운영 예정
- ※ 자원연계(실감형콘텐츠)는 임기후 지속 운영 예정
4. 연차별 소요예산(투자계획)
(단위 : 백만원)
구 분 | 계 | 연도별 예산 | 임기후 | ||||
---|---|---|---|---|---|---|---|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
총 계 | 350 | 50 | 50 | 50 | 100 | 100 | |
국 비 | 140 | 20 | 20 | 20 | 40 | 40 | |
시 비 | 105 | 15 | 15 | 15 | 30 | 30 | |
구 비 | 105 | 15 | 15 | 15 | 30 | 30 | |
민자/기타 |
5. 공약이행 확인 지표
확인 지표 | 단위 | 목표(계) | 연차별 달성 목표 | ||||
---|---|---|---|---|---|---|---|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
콘텐츠개발(문화재활용사업) | 회 | 3 | 1 | 1 | 1 | ||
자원연계(실감형콘텐츠) | % | 100 | 50 | 100 |
6. 유관기관 협력 사항
- (제도) 문화재청, 광주광역시의 마한역사문화권의 정비계획 수립
- (재정) 문화재청, 광주광역시의 마한역사문화 지역문화재 활용사업 공모를 통한 예산 확보
7. 예상 문제점 및 해결방안
- 광산 문화유산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문화재 활용과 문화재 보존·관리 업무의 분리 필요
- 문화재청, 광주광역시, 광주역사민속박물관과의 초광역 협의를 해야 하는 문화재(국가사적지)로서 발굴 정비가 지자체로만은 절대적 한계가 있음.
8. 기대효과
- 문화재청 생생문화재 사업 총 진행 횟수 및 참여 인원 매년 증가
- 市선사체험학습관과 연계한 복합체험(선사·마한) 프로그램 구현
추진부서
- 관광육성과장 최문천(☎6850)
- 문화재활용팀장 백옥연(☎8272)
- 담당 이란영(☎8255)
협조부서
- 문화재청, 광주광역시 문화기반조성과, 역사민속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