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관광 꽃피는 도시"
4-7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 생활 실천
사업성격 | 계속 | 사업주체 | 자체 | 달성기간 | 임기내 |
---|
정책목표
- 기후위기 종합 대응체계 구축, 탄소중립 생활 실천 분위기 확산
1. 현황
- 우리구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8년 기준 348만톤으로 광주시 배출량의 약 38%를 차지
- 2045 탄소중립 실현 주체로서 지역 실정을 반영한 부문별 기후위기 대응 종합계획 수립 및 이행체계 구축 필요
- 범지구적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사회 전 계층이 위기 의식을 가지고 불편함을 감수하는 생활방식의 대전환 필요
- 비대면 언택트 방식 확산으로 IT 밀접성이 점차 확대되는 상황으로 전 직원이 함께하는 디지털 탄소감축 업무 습관 만들기 필요
2. 정책개요
2045 탄소중립! 기후위기 종합대응 체계 구축
- 비 전 : 함께 만들어 가는 2045 탄소중립도시 광산
- 감축목표 : '30년 온실가스 155만톤CO2eq 감축('18년 대비 45%), '45년 탄소중립
- ※ 온실가스 배출량(‘18년 기준) : 국가 72,760만톤, 광주시 908만톤, 광산구 348만톤
- 이행과제 : (대응계획) 7개 부문 41개 과제, (적응대책) 6개 부문 39개 과제
- 주요내용 : 과제별 목표설정 및 추진계획 수립, 추진상황 점검 및 이행평가, 환류
- 소요예산 : 44,582백만원 ※ 이행과제(80개)‘22년 예산액
시민과 함께하는 탄소중립 생활 실천
- 사업기간 : ’22. 1. ~ 지속
- 사업내용 : 캠페인 및 교육, 시민활동 지원, 마을 활동가 양성 및 활동 지원, 맞춤형 참여프로그램 추진 등
- 소요예산 : 376백만원(국 35, 시 55, 구 286)
-
STEP 1
- (초기) 시민인식 개선
-
- ‘광산구 기후행동의 날’ 운영
- 찾아가는 기후위기 시민교육
- 기후위기 대응 시민활동 지원
- 2022년 ~
-
STEP 2
- (확산) 생활방식 전환
-
- 우리동네 기후행동 활동가 양성
- 탄소중립 아이디어 공모
- 시민활동 지원 및 인센티브 확대
- 2년 내
-
STEP 3
- (고도화) 탄소중립 생활화
-
- 기후행동 활동가 지원 : 마을단위 교육 등
- 세대별 맞춤형 프로그램 추진 : 기후위기 미술대회 등
- 4년 내
디지털 탄소 다이어트 실천 운동 전개
- 사업기간 : 2022. 10. ~ 지속
- 대 상 : 전 직원 ※ 행정정보시스템(‘22. 7. 기준) : 1,792명(공무직, 임기제 포함)
- 사업내용 : 주기적인 메일함 비우기, 광고성 스팸메일 차단, 컴퓨터 절전모드 사용 등 디지털 탄소 다이어트 추진
- 소요예산 : 비예산
3. 추진계획
연차별 추진계획
달성 최종목표 | 연차별 달성 목표 | |
---|---|---|
기후위기 종합 대응체계 구축 | 2022 | 기후위기 대응(적응)계획 수립 및 이행평가 |
2023 | 부문별 이행과제 확대 및 다양화(80개→90개) | |
2024 | 부문별 이행과제 확대 및 다양화(80개→90개) | |
2025 | 부문별 이행과제 확대 및 다양화(80개→90개) 산업부문 참여 유도 및 감축지원 사업 발굴·추진 |
|
2026 | ||
탄소중립 생활 실천 분위기 확산 | 2022 | 기후행동의 날 캠페인, 찾아가는 기후위기 시민교육, 시민활동 지원, 디지털 탄소 다이어트 실천 운동 종합계획 수립 |
2023 | 동별 기후행동 활동가 양성, 탄소중립 아이디어 공모, 디지털 탄소 다이어트 실천 및 절감 | |
2024 | ||
2025 | 기후행동 활동가 마을별 활동 지원, 세대별 맞춤형 참여 프로그램 운영 | |
2026 |
추진일정
주요일정(연도/분기) |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임기후 | |||||||||||
---|---|---|---|---|---|---|---|---|---|---|---|---|---|---|---|---|---|
3 | 4 | 1 | 2 | 3 | 4 | 1 | 2 | 3 | 4 | 1 | 2 | 3 | 4 | 1 | 2 | ||
기후위기 대응(적응)계획 수립 및 이행평가 | |||||||||||||||||
이행과제 확대 및 다양화 | |||||||||||||||||
산업부문 참여 유도 및 감축지원 사업 발굴·추진 | |||||||||||||||||
기후행동의 날 캠페인, 시민교육, 시민활동 지원 | |||||||||||||||||
동별 기후행동 활동가 양성, 탄소중립 아이디어 공모 | |||||||||||||||||
기후행동 활동가 활동 지원, 세대별 맞춤형 참여프로그램 운영 | |||||||||||||||||
디지털 탄소 다이어트 실천 운동 |
4. 연차별 소요예산(투자계획)
(단위 : 백만원)
구 분 | 계 | 연도별 예산 | 임기후 | ||||
---|---|---|---|---|---|---|---|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
총 계 | 376 | 53 | 69 | 78 | 88 | 88 | |
국 비 | 35 | 7 | 7 | 7 | 7 | 7 | |
시 비 | 55 | 11 | 11 | 11 | 11 | 11 | |
구 비 | 286 | 35 | 51 | 60 | 70 | 70 | |
민자/기타 |
5. 공약이행 확인 지표
확인 지표 | 단위 | 목표(계) | 연차별 달성 목표 | ||||
---|---|---|---|---|---|---|---|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
기후위기대응 이행과제 발굴 | 개 | 100 | 80 | 10 | 10 | ||
탄소중립생활 실천활동 전개(캠페인·교육, 시민 활동 지원, 활동가 양성 등) | 회 | 90 | 10 | 20 | 25 | 25 | 10 |
6. 유관기관 협력 사항
- 해당없음
7. 예상 문제점 및 해결방안
- 온실가스 감축은 단기간에 가시적 성과 달성이 어려우며 민간영역의 자발적 참여가 절대적으로 필요함
- ⇒ 지자체 비관리대상인 산업·수송부문(우리구 온실가스 배출량 70% 차지) 등의 참여를 위한 정부의 재정·제도적 지원 필요
8. 기대효과
- 기후위기 의식 고취 및 생활방식 전환으로 탄소중립 실천 생활화
- 기후위기의 세계적·국가적 기조에 선제적인 동참 및 자치구 단위의 우수(선도) 모델 구현
- 2045 탄소중립 실현으로 현재·미래 세대의 생존권·환경권 확보
추진부서
- 기후환경과장 강미금(☎8430)
- 기후위기대응팀장 이선자(☎8440)
- 담당 노미라, 김은비(☎8437, 8443)
협조부서
- 데이터정보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