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예술, 산업이 조화된 희망의 땅, 광산구
광산구 북산동 북성마을에서 태어난 조철현 비오 신부는 1969년 사제서품...
생가 : 광산구 북산동 북성마을
조기정은 대학 졸업 후 고려청자 비색에 매료되어 도예계에 발을 들였다. ...
무등도예연구소 : 광산구 평동금곡길 53
광주 북구 신안동에서 태어난 조경환은 최익현 문하에서 학문을 닦았다. 한...
조경환 생가 : 광주광역시 북구 신안동
광주시 무형문화재 제8호 광산농악 꽹과리 예능보유자로 인정된 정득채는 …
광산농악전수교육관 : 하남지실길 255-94(산정동 696-1)
광산구 평동 동산마을에서 태어난 전유창은 동학농민혁명 당시 족형 전봉…
광산구 평동 동산마을
임상희(林相熙, 1858~1931)의 자는 국진(國珍), 호는 금우(錦愚...
학림정사 : 광산구 외등길 159(등임동 산 120-2)
이병수는 동학농민혁명 당시 광산구가 격전지였음을 증언해주는 자료 '금…
이경채는 송정리(현재 송정동)에서 태어나 비밀모임 '독서회'를 조직했으며...
송정동초등학교(공적비) : 광산구 사암로 27번길 58(신촌동 1035)
윤상원은 광산구 임곡동 천동마을에서 태어나 5·18민주화운동에 참여, 민...
광산구 천동길 46(신룡동 570-1)
호가정을 건립한 유사의 손자이며, 외할아버지는 임형수다. 마곡 창교리(현...
오효석의 자는 선이(善詒), 호는 생로당(生老堂) 또는 대명처사(大明處士...
영사재 : 광산구 명곡길 170-30(명도동 507)
오준선의 호는 후석(後石), 자는 덕행(德行), 본관은 나주다. 지금의 ...
용진정사 : 광산구 본량동서로 180-68(왕동 3-1)
오성술의 본명은 인수로 호는 죽파다. 송산동 죽산마을에서 태어났으며 항…
본적지 : 송산동 477
오권선은 나주 삼가리(현재 광산구 삼도동)에서 태어났으며 동학 대접주로 ...
오계수는 도림(현재 광산구 도덕동)에서 태어나 오준선과 함께 기정진 문하...
광산구 도림하길 33(도덕동 411-4)
오겸은 오자치의 손자로 서울에서 태어났으며 광주목사, 담양부사, 전라도…
광산사 : 광산구 송산동 837
안병택은 제주 조천읍에서 태어나 장성 고산으로 이거해 기우만에게 배웠…
심원표는 한말, 일제강점기 등 어지러운 세상을 살아야 했던 인물로 호는 ...
만취정 : 광산구 본량본촌길 29(동호동 419)
광주시 무형문화재 탱화장이었던 송복동은 순창에서 태어나 순창 구암사로…
광산구 운수동 거주
범세동은 정몽주 제자로 공민왕때 과거에 급제한 후 덕령부윤, 간의대부 등...
범세동선생묘 : 덕림동 산 94-1
배동신은 일제강점기 송정동에서 태어난 우리나라 1세대 수채화가다. 금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