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예술, 산업이 조화된 희망의 땅, 광산구
전라남도의 서부평야지대를 중심으로 발달한 호남우도농악의 일종인 광산농악은...
광산농악전수교육관 : 광산구 하남지실길 255-94(산정동 696-1)
박영곤 대목장의 이명은 박영산으로 대흥사, 불회사 등에서 불사를 지었다....
1920년대 건립된 이 가옥은 효령대군의 손자인 율원군의 후손들이 거주한...
광산구 장덕로 96번길 15(장덕동 1291-1)
본량동 관할 산수동 입석마을에 있는 입석이다. 이 마을은 황룡강을 끼고 ...
광산구 본량입석길 246(산수동 225)
창령조씨 일가 4대의 충, 효, 열의 행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정려다. ...
광산구 용진로 219(북산동 450-1)
만취정은 한말의 우국자사인 심원표(1853~1939)가 1913년에 지어...
광산구 본량본촌길 29(동호동 419)
김봉호 가옥은 광복 직후 건립된 전통가옥으로써 전형적인 농촌가옥이다. …
광산구 하남대로 54번 안길 161(하남동 71)
왕버들은 하완마을 앞 모정 옆에 한 그루가 있고, 남동쪽으로 약 150m...
광산구 하완길 46(수완동 870-1, 700-12)
삼거동에는 청동기시대 사람들이 조성한 돌무덤 49개가 누워있다. 크게 2...
광산구 삼거동 산50, 산51
호가정은 조선 중·명종대 선비 설강 유사가 지은 정자다. 중국 송나라 송...
광산구 동곡분토길 195(본덕동 1)
용진마애여래좌상은 용진산의 청룡사 가는 길 왼편 암벽에 새겨진 마애불…
광산구 원사호길 55-43(사호동 산 136)
태조 6년(1397) 전라도 병영을 설치하면서 쌓았다가 태종 17년(14...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정동 250-4
한말 도학자 후석 오준선(吳駿先, 1851∼1931)이 망국의 한을 달래...
광산구 본량동서로 180-68(왕동 3-1)
과거 광주로 들어오는 길목에 위치, 수많은 시인묵객이 찾았던 정자로 관직...
광산구 풍영정길 21(신창동 852)
고려 인종 때 어의인 최사전(崔思全, 1067~1139)을 비롯해 그 후...
광산구 산월로 21번길 26(월계동 535-2)
여말선초 시기를 살았던 범세동은 고려가 망하자 두문동에 은거하다 고향…
광산구 덕림동 산 94-1
평동 명화마을 평동저수지 근처에 있는 삼국시대 고분이다. 6세기 전반경에...
광산구 명화동 170-5
5세기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굴식돌방무덤(횡혈식석실묘)으로 고…
월계로 155(월계동 765-5)
한국 서정시 발전을 위해 선구적 역할을 한 용아 박용철 생가로 본채와 사...
광산구 소촌로 46번길 24(소촌동 363-1)
양씨삼강문은 충민공 양산숙 일가 7명의 충효열을 기리기 위해 인조 13년...
광산구 박호동 산 131-5
월봉서원의 강당이 빙월당이다. 기대승을 주벽으로 박상, 박순, 김장생, ...
광산구 광곡길 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