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산구 주민참여예산문화관광

모바일메뉴

광산구 자료저장소

인물

정세운

5/12
정세운

고려의명장-정세운
본관은 광주이며 이고장 광산출신으로 고려 공명왕때의 충신이자 뛰어난 장군이다.

정세운(鄭世雲)은 고려 말기의 무신(武臣)으로 공민왕(恭愍王) 재위기의 혼란을 수습하기 위해 애쓰면서 홍건적(紅巾賊)의 침입을 물리치고 국난(國難)의 위기에서 고려를 구해낸 난세의 영웅이었으나 음모로 비참한 최후를 맞이한 인물이다. 정세운 장군의 본관은 광주이며 광산출신으로 고려 공명왕 때의 충신이자 뛰어난 장군이다. 강릉대군(江陵大君, 공민왕)을 따라 원나라에 들어가 공훈을 세우고 돌아와서 대호군(大護軍)이 되었다. 공민왕이 왕위에 오르자 그 공적으로 이등공신에 책록되었고 공민왕 5년(1356년)에 역적 기철을 때려죽인 공으로 지문하성사(知門下省事)가 되었다.

기철은 원나라 순종황후 기씨의 큰 오빠로 그 당시 기씨 형제들은 고려에서 막강한 권력을 행사하며 무례하고 방자하기가 이를 데 없었다. 공민왕이 이를 제거하기 위해 일부러 궁중에서 술잔치를 열어 불러들인 뒤 기철과 그 추종자를 없애고 서울에 계엄령을 내려 그 일당들을 모두 제거했다. 정세운 장군은 이때의 공로로 일등공신의 서열에 끼게 되면서 김용(金鏞)과 왕의 총애를 다투게 되었다.

1361년(공민왕 10년) 겨울, 홍건적이 쳐들어와 서울은 함락당하고 만다. 정세운 장군은 왕을 호송하면서 임금에게 민심을 위로 하도록 하고 자신은 여러 고을의 군사를 독려하여 적을 치게 해줄 것을 주청하였다.

1362년 1월 공민왕은 정세운 장군을 총사령관으로 삼고 홍건적을 치도록 명령하였다. 왕명을 받고 20만 대군을 거느리고 나라 안에 침입한 정세운 장군은 홍건적을 압록강 밖으로 몰아내고 서울을 수복하여 1363년(공민왕 12년) 호종 일등공신이 되었으나 항상 사이가 좋지 않던 김용의 계략으로 살해되고 말았다. 뒤에 그 무고함이 밝혀져 그 당시의 최고 통치 기관의 으뜸 벼슬인 첨의정승이 추증 되었다.

억울하게 죽음을 당한 일세의 영웅이자 비운의 무장인 정세운 장군은 후세에 남겨진 개인적 기록이 거의 없어 안타까움을 느끼게 한다. 정세운 장군은 광주 정씨 가문의 시조로 무량에 뛰어나고 문장에도 능하여 많은 유집을 남겼다고 전하나 현재까지 전해지는 것은 없다고 한다.

기본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