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산구 주민참여예산문화관광

모바일메뉴

광산구 자료저장소

인물

송천 양응정

5/12
송천 양응정

지조있는 선비와 학자로서의 삶, 송천 양응정

  • 광주 광산구 박호동 산 131-1

양응정 선생은 남종화의 시조라고 부르는 묵죽도를 그린 교리 양팽손(梁彭孫)의 아들이며 조선 중기(명종~선조)의 문신이다. 송천 선생은 외교 및 국방, 군사전략에 조예가 깊은 정치가이자 학자, 시인, 충효사상이 투철한 의인이자 효자였다.

1571년, 성균관 대사성직에 있던 송천 선생은 홍문관 대제학에 내정되었으나, 간신들의 간언으로 황해감사로 내려가게 되었다. 송천 선생은 지조를 지키면서도 비교적 높은 관직을 두루 거쳤지만 그의 삶은 세상의 처세와 맞지 않아, 안으로는 정치시류에 섞이지 않았고 밖으로 정치실세에 가깝게 지내지 않았기 때문에 당시 권신인 윤원형(尹元衡)과 이량 등에 의하여 모함과 탄핵, 파직과 복권을 반복해야 했다. 선생의 시에도 이와 같은 마음이 잘 나타나 있다.

전원으로 못간 것이 젊은 시절 잘못이야
높은 누대 올라 또 한 번 멀리 바라보네
어디서 오는 스님 강 길을 따라 가니
석양빛에 그림자가 맑은 여울 속에 잠겨 있네

송천 선생은 광산 박산 황룡강가에 소나무, 집 뒤에는 대나무를 심어 가꾸며 거문고와 퉁소, 독서를 즐기며 후학을 양성하여 송천(松川) 선생이라고 불렀다.

선생의 문하에는 송강 정철 등 조선의 대표적인 문호들과, 임진왜란 당시 국난 극복에 앞장선 무장들도 배출되었다. 송천선생은 당시의 명사들과 교류하면서 많은 시문을 남겼지만 정유재란 때 모두 표실되고 문집 송천유집(松川遺集)과 용성창수록(龍城唱酬錄)등이 남아있다. 송천 선생의 사후 10년 뒤에 닥쳐온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에서 선생의 가르침은 그의 가족들이 겪은 치열한 삶을 통해서 오늘까지 우리에게 전해지고 있다. 광주시 광산구 박호동에 자리한 우리나라 최초의 사액인 양씨 삼강문에는 왜적과 싸우다 순절한 송천 선생 가족 8명의 충(忠)·효(孝)·열(烈)·행(行)을 기리고 있다.

양씨 삼강문

광주시 광산구 박호동. 광주기념물 제11호. 임진왜란 때 진주성 전투에서 순절한 충민공 양산숙 일가 7명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정려.

양응정 선생은 남종화의 시조라고 부르는 묵죽도를 그린 교리 양팽손(梁彭孫)의 아들이며 조선 중기(명종~선조)의 문신이다. 송천 선생은 외교 및 국방, 군사전략에 조예가 깊은 정치가이자 학자, 시인, 충효사상이 투철한 의인이자 효자였다.

1571년, 성균관 대사성직에 있던 송천 선생은 홍문관 대제학에 내정되었으나, 간신들의 간언으로 황해감사로 내려가게 되었다. 송천 선생은 지조를 지키면서도 비교적 높은 관직을 두루 거쳤지만 그의 삶은 세상의 처세와 맞지 않아, 안으로는 정치시류에 섞이지 않았고 밖으로 정치실세에 가깝게 지내지 않았기 때문에 당시 권신인 윤원형(尹元衡)과 이량 등에 의하여 모함과 탄핵, 파직과 복권을 반복해야 했다. 선생의 시에도 이와 같은 마음이 잘 나타나 있다.

전원으로 못간 것이 젊은 시절 잘못이야
높은 누대 올라 또 한 번 멀리 바라보네
어디서 오는 스님 강 길을 따라 가니
석양빛에 그림자가 맑은 여울 속에 잠겨 있네

송천 선생은 광산 박산 황룡강가에 소나무, 집 뒤에는 대나무를 심어 가꾸며 거문고와 퉁소, 독서를 즐기며 후학을 양성하여 송천(松川) 선생이라고 불렀다.

선생의 문하에는 송강 정철 등 조선의 대표적인 문호들과, 임진왜란 당시 국난 극복에 앞장선 무장들도 배출되었다. 송천선생은 당시의 명사들과 교류하면서 많은 시문을 남겼지만 정유재란 때 모두 표실되고 문집 송천유집(松川遺集)과 용성창수록(龍城唱酬錄)등이 남아있다. 송천 선생의 사후 10년 뒤에 닥쳐온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에서 선생의 가르침은 그의 가족들이 겪은 치열한 삶을 통해서 오늘까지 우리에게 전해지고 있다. 광주시 광산구 박호동에 자리한 우리나라 최초의 사액인 양씨 삼강문에는 왜적과 싸우다 순절한 송천 선생 가족 8명의 충(忠)·효(孝)·열(烈)·행(行)을 기리고 있다.

양씨 삼강문

광주시 광산구 박호동. 광주기념물 제11호. 임진왜란 때 진주성 전투에서 순절한 충민공 양산숙 일가 7명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정려.

참고문헌

  • 권순열 송천 양응정의 시문학 연구. 전남대 박사논문.
  • 김은수. 송천 양응정의 책 연구. 고시가연구.
  • 김준옥. 송천 양응정의 문학적 의식 세계. 고시가연구.
  • 박준규. 광주의 박산과 송천 양응정. 고시가연구.
  • 유년석. 양응정의 서찰과 언행록에 대한 연구. 고시가연구.
  • 정상균. 양응정의 "조유북해모창오"시 연구. 고시가연구.
  • 광산구문화원. 광산의 사화.
기본정보
소재지
광주 광산구 박호동 산 1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