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산구 주민참여예산문화관광

모바일메뉴

광산구 자료저장소

지정문화재

월계동 장고분

5/12
월계동 장고분

5세기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굴식돌방무덤(횡혈식석실묘)으로 고분의 모양이 전통악기인 장고와 비슷하다 하여 마을이름도 ‘장구촌’이라고 불렀다. 현재 2기가 남아 있다.

  • 월계로 155(월계동 765-5)

광산구 월계동 영산강 상류의 낮은 구릉지대 장구촌마을(현재 월계동)에 있던 고분 2기다. 5세기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굴식돌방무덤(횡혈식석실묘)이다. 고분의 모양이 전통악기인 장고와 비슷하다 하여 마을이름도 ‘장구촌’이라고 불렀다. 원래 9기 정도가 첨단지구에 있었으나 1994년 택지를 조성하면서 모두 없어지고 지금 남아있는 2기만 보존하게 된 것이라 한다. 주민들의 말에 따르면 한국전쟁 때 주민들이 석실에 들어가 숨기도 했고 여름철 농사짓던 농민들이 무더위를 식히기 위해 석실을 사용하기도 했다고 한다.

1993년과 1995년 두 차례에 걸쳐 전남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굴조사를 실시하며 규모와 구조가 밝혀졌는데, 1호분은 일제강점기에 도굴되었으며 봉토가 깎였다. 봉분은 몇 개의 구역으로 나뉘어 동시에 판축, 성토되었으며 장축방향은 원부가 동남동에, 방부가 서북서에 있다. 도굴되었지만 귀고리 1점, 철제 화살촉 1점, 토기편 등 약간의 유물이 출토되었으며 주호에는 적갈색 원통형 토기, 나팔형 토기, 유공광구호(有孔廣口壺) 등의 토기들이 파괴된 채 출토되었다. 2호분은 경작과 도굴로 많은 부분이 유실되어 원부 정상의 판석 일부가 노출되어 있었다. 석실에서 철도자편(鐵刀子片), 토기편, 유리구슬이 출토되었고 주호시설에서는 적갈색 원통형 토기 등이 파괴된 채 출토되었다. 월계동 장고분은 광주시 기념물 제20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관람할 수 있다.

기본정보
지정번호
지방 기념물 제 20 호
소유자
광주광역시
소재지
월계로 155(월계동 765-5)
규모
2 기
시대
삼국시대(백제)
지정일
1994-02-18
위치정보
버스노선

임곡 91, 지원 51, 첨단 09, 첨단 30, 풍암 16, 운림 51, 일곡 10, 상무 22, 금호 46, 임곡 91, 첨단 94, 마을 720, 마을 720-1

찾아가는 방법

광천터미널에서 첨단지구 방면 승용차로 20분 소요 / 월계초교에서 도보로 10분 소요

광산 맛집 리스트
광산맛집 리스트를 나타내는 표입니다. 식당명,주소,전화번호,주메뉴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식당명 주소 전화번호 주메뉴
깐깐한 족발 광주 광산구 첨단중앙로116번길 46 973-0369 족발
통파이브 광주 광산구 첨단중앙로106번길 65-3 062 -974 -3939 치킨,피자
달봉이회수산 광주 광산구 첨단중앙로152번길 31-16 062- 972-9252 활어회
함평한우촌 광주 광산구 임방울대로800번길 11-10 062- 972-9234 꽃등심,안창살,갈비살
청석골칡냉면 광주 광산구 산월로3번길 46 062- 971-7717 냉면, 만두
장수나주곰탕첨단점 광주 광산구 임방울대로801번길 36 062 -974 -0292 냉면, 갈비탕, 육개장
참일능이 광주 광산구 첨단중앙로182번길 46 062 - 973-5955 장어
유자골 순한우 광주 광산구 첨단중앙로124번길 60 062)956-3392 꽃등심, 생고기, 갈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