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산구 주민참여예산문화관광

모바일메뉴

광산구 자료저장소

지정문화재

무양서원

5/12
무양서원

고려 인종 때 어의인 최사전(崔思全, 1067~1139)을 비롯해 그 후손인 최윤덕(崔允德)과 최부(崔溥, 1454~1504), 유희춘(柳希春, 1513~1577), 나덕헌(羅德憲, 1573~1640)을 모신 서원이다.

  • 광산구 산월로 21번길 26(월계동 535-2)

고려 인종 때 어의인 최사전(崔思全, 1067~1139)을 비롯해 그 후손인 최윤덕(崔允德)과 최부(崔溥, 1454~1504), 유희춘(柳希春, 1513~1577), 나덕헌(羅德憲, 1573~1640)을 모신 서원이다. 1927년 탐진최씨 문중에서 세웠다. 광주 옛 이름에서 따 ‘무진의 볕(武珍之陽)’이라는 의미다.

최사전은 탐진최씨 시조로 이자겸의 난 때 척준경을 설득하여 난을 평정하는 공을 세웠다. 최윤덕은 고려 공민왕때 도첨의를 지냈다. 최부는 1482년 친시문과에서 을과로 급제하며 관직생활을 시작한 문인이다. 서거정과 함께 동국통감 편찬에 참여했으며 1487년 추쇄경차관이 되어 제주도로 파견되었다 부친상으로 고향으로 돌아오던 중 풍랑을 만나 명나라로 표류되었다. 온갖 고초 끝에 귀국해 중국에서 보고 들은 것을 기술했는데, ‘금남표해록’이다. 이 표류기는 일본에서도 널리 읽혀졌다.

유희춘은 최부의 외손자로 1538년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했으며, 양재역 벽서사건에 연루되어 유배생활을 했다. 1567년 10월 1일부터 1577년 5월 13일 죽기 전날까지 약 10년 동안 쓴 ‘미암일기’로 널리 알려졌다. 미암일기는 보물 제260로 지정되어 있다. 나덕헌은 1603년 무과에 급제하고 이괄의 난 때 도원수 장만의 휘하에 종군했으며 길주목사, 창성부사, 삼도통어사 등을 역임했다. 시호는 충렬이며 정문이 세워졌다. 무양서원은 광주시 문화재자료 제3호로 지정되었다.

기본정보
지정번호
지방문화재 자료 제3호
소유자
탐진최씨 문중
소재지
광산구 산월로 21번길 26(월계동 535-2)
규모
강당 정면 5칸, 측면2칸, 팔작지붕
시대
1927년
지정일
1984-02-29
상세안내
무양서원 배향 인물

  • 최사전 ( 崔思全 ) 은 인종 때 어의로서 죽은 뒤 인종의 묘정에 모셔졌다.
  • 최윤덕 ( 崔允德 ) 은 조선이 건국되자 벼슬을 물리친 이유로 광산으로 귀양되었다.
  • 최부 ( 崔溥 ) 는 성종 때 [ 동국통감 ] 을 편수하였으며 [ 표해록 ] 을 지었다.
  • 유희춘 ( 柳希春 ) 은 최부의 외손으로 [ 미암일기 ] 를 남겼다 .

위치정보
버스노선

봉선 27, 첨단 192, 첨단 40, 첨단 94, 임곡 91, 첨단 09, 첨단 30, 첨단 92, 일곡 10, 상무 22, 마을 720, 마을 720-1

찾아가는 방법

광천터미널에서 첨단지구 방면 승용차로 16분 / 월계초교에서 도보로 10분

광산 맛집 리스트
광산맛집 리스트를 나타내는 표입니다. 식당명,주소,전화번호,주메뉴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식당명 주소 전화번호 주메뉴
깐깐한 족발 광주 광산구 첨단중앙로116번길 46 973-0369 족발
통파이브 광주 광산구 첨단중앙로106번길 65-3 062 -974 -3939 치킨,피자
달봉이회수산 광주 광산구 첨단중앙로152번길 31-16 062- 972-9252 활어회
함평한우촌 광주 광산구 임방울대로800번길 11-10 062- 972-9234 꽃등심,안창살,갈비살
청석골칡냉면 광주 광산구 산월로3번길 46 062- 971-7717 냉면, 만두
장수나주곰탕첨단점 광주 광산구 임방울대로801번길 36 062 -974 -0292 냉면, 갈비탕, 육개장
유자골 순한우 광주 광산구 첨단중앙로124번길 60 062)956-3392 꽃등심, 생고기, 갈비
달맞이흑두부 광주 광산구 북문대로 500-17 062- 972-8465 두부백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