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산구 주민참여예산문화관광

모바일메뉴

광산구 자료저장소

비지정문화재

이기손 의병장 의적비

5/12
이기손 의병장 의적비

구한말의 의병장, 이기손 장군의 의적비는 송정공원 내에 자리하고 있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촌동 산95

구한말의 의병장, 이기손 장군의 의적비는 송정공원 내에 자리하고 있는데 그 옆에 비석에는 다음과 같이 쓰여있다.

용진산 정기받아 님이 나셨고 구국의 횃불들고 일어나신 곳 함성도 드높았다
그날의 함성 빛나는 오십회의 빛난 전공에 날뛰던 왜적들도 넋을 잃었네
장군의 애국충절 같구나 의적비 세운곳에 영령 계시니
오가는 길손들이 머리숙이네

의병장 이기손은 자는 안식, 호를 급재라 했으며 당호는 용섭당이다. 효령대군의 17대손이며 아버지는 농포공 이영의이다. 1895년 민비피살 사건을 비롯 1905년의 을사보호 조약 1907년의 고종황제 폐위 관군해산등 국치의 분함이 거듭되자 평소병서를 연구하여 손자병법에 통달한 공은 광산, 나주 등지 장정을 모아 나라를 구해야 함은 젊은이들의 의무라고 역설 의병을 조직 하고, 1908년 의병창의삼대장으로 나주, 광주, 담양, 함평, 무안, 영광, 고흥등지에서 많은 전공을 세웠으며 특히 담양 무동촌 전투에서 왜장 요시다의 부대와의 접전에서 괄목할 성과를 올렸다.

그 후 일제의 탄압으로 만주망명길에 올랐으며 6년후 귀국하여 충남금산에서 은거, 후진 양성에 전념하고 1930년 금산군 금성면 하신리의 온양이씨 문중에서 고종황제와 융희 황제를 모신 숭봉전, 어필각을 건립하여 민족혼을 일깨웠다. 광복후 금산과 향리인 광산을 왕래하면서 1957년 11월 27일 80세로 별세하였다.

기본정보
소유자
광산구청
소재지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촌동 산95
시대
197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