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열부 광산김씨정려
- 평택임씨삼강유허비
- 효자 정계흥지려
- 오효열정문(五孝烈旌門)
- 의령남씨·광산김씨 정려각
- 옥동 3층 석탑
- 선암사지 3층 석탑
- 충현각(忠賢閣)
- 지어재(志於齋)
- 율수재(聿修齋)
- 오성재(五星齋)
- 귀후재(歸厚齋)
- 경장각(敬章閣)
- 경모재(敬慕齋)
- 경모재(敬慕齋)
- 진천사(眞泉祠)
- 신호사(莘湖祠)
- 등임사(登臨祠)
- 대산사(大山祠)
- 후암정(後岩亭) 터
- 후주정(後洲亭) 터
- 호은정(湖隱亭)
- 낙암정(樂庵亭)
- 송음정(松陰亭)
- 외성당(畏省堂)
- 관수정(觀水亭)
- 유애서원(遺愛書院)
- 용아시비
- 석재연자방아
- 죽산박씨 대종가
- 오상열 의병장 묘역
- 후석 오준선 묘역
- 고봉 묘역
- 오상열 의병장 순절기적비
- 박현동 의병 표성비
- 어등산 한말호남의병 전적지
- 국창임방울 노래비
- 민목사불망비
- 용마바위
- 이기손 의병장 의적비
- 김해김씨 효열비
- 시기재(始基齋)
- 두남재(斗南齋)
- 봉강재(鳳崗齋)
- 오남재(吾南齋)
- 영사재(永思齋)
- 곡부공씨열행비
- 영광김씨효열정려
- 밀양손씨삼효려
- 광산김씨효열각
- 선거이지려(宣居怡之閭)
- 남동사(南洞祠)
- 원당영각
- 송호영당
- 불환정(不換亭)
- 칠송정(七松亭)
- 가학정(駕鶴亭)
- 도림사(道林祠)
- 동호사(東湖祠)
- 대동사(大東祠)
- 대명사(大明祠)
- 화암사(花巖祠)
- 광산사(廣山祠)
- 학림정사(鶴林精舍)
- 송산동 미륵불
- 양림사 부도
- 동촌마을 입석
- 세동마을 입석
유애서원(遺愛書院)
광주목사를 역임했던 이신의 학덕과 충절을 추모하기 위해 지은 서원이다. 1632년 이신의가 선조 어필의 서문이 붙여진 8폭 병풍을 하사받자 호남유림이 예부의 허가를 얻어 1754년 유애사를 지어 보관했다.
- 광산구 용아로 460(흑석동 206)
유애서원은 하남동 관할 흑석동에 있다. 석탄(石灘) 이신의(李愼儀, 1551~1627)의 학덕과 충절을 추모하기 위하여 지은 것이다. 서원 경내에 1901년에 지은 금서재(琴書齋)와 1919년에 지은 경장각(敬章閣)이 있다. 1632년 이신의가 선조 어필의 서문이 붙여진 8폭 병풍을 하사받자 호남유림이 예부의 허가를 얻어 1754년 유애사를 지어 보관했다. 1868년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자 금서재에 봉안했고 금서재 건물이 풍화로 노후화되자 문중회의를 거쳐 유애사 옛 터에 경장각을 지어 보관했다. 경장각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으로 1955년 1차 보수, 1985년 2차 보수를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유애서원은 2004년에 호남유림과 후손들이 복원하였다.
이신의는 조선 인조 때 문신으로 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경칙(景則),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형조참의 이원손(李元孫)의 둘째 아들로 태어나 일찍 부모를 여의고 맏형의 양육을 받아 성장하였다. 1582년에 학행으로 천거되어 예빈시봉사를 거쳐 남원부사, 직산현감, 광주목사 등을 역임했다. 1592년 임진왜란 때 향군(鄕軍) 300여 명을 모아 의병으로 참전, 왜병을 무찌른 전공으로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봉해졌다. 1627년 정묘호란으로 왕을 모시고 강화도로 가던 중 수원에서 세상을 떠났다. 1685년에 자헌대부 이조판서 오위도총부 도총관에 추증되었다. 이신의 종가소장 고문서는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5호로 지정되어 국립광주박물관에 보관되고 있다.
기본정보
- 소재지
- 광산구 용아로 460(흑석동 206)
위치정보
광산 맛집 리스트
식당명 | 주소 | 전화번호 | 주메뉴 |
---|---|---|---|
삼겹이운다 | 광주 광산구 용아로380번길 55 | 062 -951 -5263 | 삼겹살 |
황솔촌수완점 | 광주 광산구 장신로19번안길 23 | 062 - 943-9233 | 돼지갈비 |
해궁 | 광주 광산구 풍영로229번길 53 | 062 -955 -5562 | 전복구이 |
웰빙마을수완점 | 광주 광산구 임방울대로 261 | 062- 959-9297 | 한우갈비찜, 불고기정식 |
신락원 | 광주 광산구 풍영로200번길 9 | 062 -953 -6848 | 팔보채, 난자완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