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열부 광산김씨정려
- 평택임씨삼강유허비
- 효자 정계흥지려
- 오효열정문(五孝烈旌門)
- 의령남씨·광산김씨 정려각
- 옥동 3층 석탑
- 선암사지 3층 석탑
- 충현각(忠賢閣)
- 지어재(志於齋)
- 율수재(聿修齋)
- 오성재(五星齋)
- 귀후재(歸厚齋)
- 경장각(敬章閣)
- 경모재(敬慕齋)
- 경모재(敬慕齋)
- 진천사(眞泉祠)
- 신호사(莘湖祠)
- 등임사(登臨祠)
- 대산사(大山祠)
- 후암정(後岩亭) 터
- 후주정(後洲亭) 터
- 호은정(湖隱亭)
- 낙암정(樂庵亭)
- 송음정(松陰亭)
- 외성당(畏省堂)
- 관수정(觀水亭)
- 유애서원(遺愛書院)
- 용아시비
- 석재연자방아
- 죽산박씨 대종가
- 오상열 의병장 묘역
- 후석 오준선 묘역
- 고봉 묘역
- 오상열 의병장 순절기적비
- 박현동 의병 표성비
- 어등산 한말호남의병 전적지
- 국창임방울 노래비
- 민목사불망비
- 용마바위
- 이기손 의병장 의적비
- 김해김씨 효열비
- 시기재(始基齋)
- 두남재(斗南齋)
- 봉강재(鳳崗齋)
- 오남재(吾南齋)
- 영사재(永思齋)
- 곡부공씨열행비
- 영광김씨효열정려
- 밀양손씨삼효려
- 광산김씨효열각
- 선거이지려(宣居怡之閭)
- 남동사(南洞祠)
- 원당영각
- 송호영당
- 불환정(不換亭)
- 칠송정(七松亭)
- 가학정(駕鶴亭)
- 도림사(道林祠)
- 동호사(東湖祠)
- 대동사(大東祠)
- 대명사(大明祠)
- 화암사(花巖祠)
- 광산사(廣山祠)
- 학림정사(鶴林精舍)
- 송산동 미륵불
- 양림사 부도
- 동촌마을 입석
- 세동마을 입석
신호사(莘湖祠)
본량동 관할 동호동 신촌마을 입구 개천변에 위치한 사우다. 문화류씨 관암 류상렬(柳庠㤠, 1880~1962) 영정을 모시는 사우로 1926년 건립되었다. 정방형 대지에 담장을 두르고 그 안에 사우 본채와 문간채가 자리잡고 있다. 사우는 정면 3칸, 측면 1칸 반 규모로 전면에 툇마루를 두었다. 류상렬의 자는 관일(寬逸), 호는 관암(寬庵)으로 자미의 후손이다. 부친은 인복(寅福)이나 재종숙 인엽(寅燁)의 계자(系子)가 되었는데 동호리에서 태어났다. 한일병합 후 세상에 나설 뜻을 잃고 향리의 자제를 모아 경전을 강론하며 후진양성에 전념했다.
1918년 제족과 더불어 신촌에 충현각을 건립, 선조인 서산공 류자미를 향사하였고 1933년 시조 대승공 사우를 건립하고자 노력했으나 일제의 반대로 뜻을 이루지 못했다. 광복 후 다시 사우 건립을 추진, 1946년 대동사를 건립하는 결실을 거뒀다. 류상렬이 세상을 떠나자 향리 문인들이 신촌마을 앞에 강학기적비를 세우고, 영당을 건립해 ‘신호사’라 이름 짓고 매년 봄 석채를 행하고 있다.
기본정보
- 소재지
- 광산구 본량신촌서길 4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