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예술, 산업이 조화된 희망의 땅, 광산구
동호동 본촌마을에 있는 정자로 심노옥의 재실이다. 호은은 심노옥의 아들 ...
광산구 본량본촌안길 34(동호동 148-1)
기대승이 초막을 짓고 학문을 연마하는 장소로 활용하다 쇠락한 것을 후손 ...
광산구 임곡신촌길 35 신룡보건진료소 뒤
삼도동 회룡마을에 있는 정자로 흥성장씨 문중이 관리하고 있다. 송음정 장...
광산구 삼도동 232-2
박광후가 지은 당으로 송시열이 당호를 썼다. '두려워하며 살피라'는 의미...
현재 없음
송산동 내동마을 입구 남산 언덕에 위치한 정자다. 오응석(吳應錫, 166...
내동송동길 37(송산동 864-1)
광주목사를 역임했던 이신의 학덕과 충절을 추모하기 위해 지은 서원이다. ...
광산구 용아로 460(흑석동 206)
용아는 항상 조국과 민족을 생각하는 학생으로, 고교시절에 지하신문을 발…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촌동 산95-1
연자방아는 현재의 정미소와 같이 재래의 우리들 곡물가공기구였다.
광주 광산구 내산동 499
임곡동 원임곡마을에 있는 죽산박씨 대종가다. 정확한 창건, 중수시기는 알...
광산구 원임곡길 34(임곡동 815)
오상렬(吳相烈, 1879~1907)의 이명은 오인섭(吳寅燮)이다. 광산구...
광주 광산구 송산동 417-3
오준선(吳駿善, 1851~1931)의 본관은 나주(羅州), 자(字)는 덕...
광주 광산구 본동로 158
월봉서원 뒤쪽으로 나있는 산길로 10여분을 오르면 그곳에 고봉묘역이 자리...
광주 광산구 광산동 452
오상열 의병장은 광산구 출신의 조선 말기의 의병장으로서 1906년 김태원...
광주 광산구 명도동 137-7
박현동표성비(河隱義士朴玄東表誠碑)는 무술년 (1958)년 2월 문중에서 ...
광주 광산구 창암길 125-20
어등산은 광주를 비롯한 장성·나주·함평 등지를 잇는, 지리적으로 매우 편...
광주광역시 광산구 등임동 산83
임방울은 가난한 농가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본명은 임승근으로 14세...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촌동 산95
이 비석은 1833년에 세워진 것으로 특이하게 하나의 비석을 2인의 공덕...
광주 광산구 산수동 118-2
지평동 황룡강변에는 오자치 장군의 애마와 관련된 전설이 스며있는 용마바위...
광산구 지평동 삼도중방길
구한말의 의병장, 이기손 장군의 의적비는 송정공원 내에 자리하고 있다.
김해김씨 효열비는 운수동 하강골 마을에 있었다고 하나, 3차례 자리를 이...
광산구 어등대로 563번길 인근
왕동 원당마을에 위치한 나주오씨 문중재실이다. 중조인 상평공 오자치(吳自...
광산구 왕동 415-7